소금 수확의 계절 [포토뉴스]

11일 인천 남동구 소래습지생태공원 염전에서 공원 관계자들이 소금을 채취하고 있다. 소래염전은 1970년대 국내 최대 천일염 생산지로 자리 잡았으나 채산성이 떨어져 1996년 7월 폐쇄한 뒤 2008년부터 3만5천㎡(1만500여평) 규모에서 옛 방식을 유지하며 천일염을 생산 및 체험장으로 사용하고 있다.조병석기자
11일 인천 남동구 소래습지생태공원 염전에서 공원 관계자들이 소금을 채취하고 있다. 소래염전은 1970년대 국내 최대 천일염 생산지로 자리 잡았으나 채산성이 떨어져 1996년 7월 폐쇄한 뒤 2008년부터 3만5천㎡(1만500여평) 규모에서 옛 방식을 유지하며 천일염을 생산 및 체험장으로 사용하고 있다.조병석기자
11일 인천 남동구 소래습지생태공원 염전에서 공원 관계자들이 소금을 채취하고 있다. 소래염전은 1970년대 국내 최대 천일염 생산지로 자리 잡았으나 채산성이 떨어져 1996년 7월 폐쇄한 뒤 2008년부터 3만5천㎡(1만500여평) 규모에서 옛 방식을 유지하며 천일염을 생산 및 체험장으로 사용하고 있다.조병석기자
11일 인천 남동구 소래습지생태공원 염전에서 공원 관계자들이 소금을 채취하고 있다. 소래염전은 1970년대 국내 최대 천일염 생산지로 자리 잡았으나 채산성이 떨어져 1996년 7월 폐쇄한 뒤 2008년부터 3만5천㎡(1만500여평) 규모에서 옛 방식을 유지하며 천일염을 생산 및 체험장으로 사용하고 있다.조병석기자
11일 인천 남동구 소래습지생태공원 염전에서 공원 관계자들이 소금을 채취하고 있다. 소래염전은 1970년대 국내 최대 천일염 생산지로 자리 잡았으나 채산성이 떨어져 1996년 7월 폐쇄한 뒤 2008년부터 3만5천㎡(1만500여평) 규모에서 옛 방식을 유지하며 천일염을 생산 및 체험장으로 사용하고 있다.조병석기자
11일 인천 남동구 소래습지생태공원 염전에서 공원 관계자들이 소금을 채취하고 있다. 소래염전은 1970년대 국내 최대 천일염 생산지로 자리 잡았으나 채산성이 떨어져 1996년 7월 폐쇄한 뒤 2008년부터 3만5천㎡(1만500여평) 규모에서 옛 방식을 유지하며 천일염을 생산 및 체험장으로 사용하고 있다.조병석기자

11일 인천 남동구 소래습지생태공원 염전에서 공원 관계자들이 소금을 채취하고 있다. 소래염전은 1970년대 국내 최대 천일염 생산지로 자리 잡았으나 채산성이 떨어져 1996년 7월 폐쇄한 뒤 2008년부터 3만5천㎡(1만500여평) 규모에서 옛 방식을 유지하며 천일염을 생산 및 체험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