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전승절 80주년 행사에 각국 정상 초청 계획…열병식도 진행 외교부 “제반 사항 고려할 것 많아…검토 중”
중국이 오는 9월 베이징 천안문 광장에서 열리는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전쟁 승리 80주년 대회'(전승절) 행사에 이재명 대통령을 초청하고 싶다는 의사를 우리 정부 측에 타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2015년 전승절 행사에 참석했던 박근혜 대통령 이후 10년 만의 초청으로, 미중 갈등 속 한미동맹 강화와 대중관계 개선의 기로에 선 한국 정부에 대한 외교적 압박이란 해석도 나온다.
2일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최근 이 대통령의 전승절 참석이 가능한지 외교 채널을 통해 우리 정부에 문의했다.
특히 올해는 전승절이 80주년을 맞는 해로, 베이징 천안문 광장에서 열병식을 진행하고 해외 정상들을 대거 초청하는 등 성대하게 행사를 열겠다는 것이 중국의 계획이다.
실제 중국은 러시아 등 사회주의권 국가들뿐만 아니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대한 초청 의사도 타진할 방침이라고 일본 교도통신이 보도한 바 있다.
정부는 과거 사례와 한중·한미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이 대통령의 참석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은 ‘국익중심의 실용외교’를 바탕으로 한중관계 개선 의지를 드러내고 있지만, 외교부는 "여러 제반 상황을 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북한의 우크라이나 전쟁 파병을 계기로 북·러 간 군사협력이 확대되는 가운데 중국이 대외적으로 군사력을 과시하는 행사에 참석하는 건 외교적 부담이 따르기 때문이다.
앞서 2015년 중국의 70주년 전승절 행사 당시 각국의 지도자들이 참석을 거부했던 열병식에 자유진영 정상 중 박근혜 전 대통령이 유일하게 참석해 비판이 제기된 점도 고려될 것으로 보인다. 당시 박 전 대통령은 우호적인 한중관계를 형성해 북핵문제에 대한 중국의 적극적인 역할을 기대하며 전승절에 참석했지만, 뚜렷한 소득은 없었다.
다만 중국의 전승절 기념행사 한 달 뒤인 10월 말 경주에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예정된 만큼 한국 정부 역시 중국 측의 제안을 바로 거절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란 분석도 나온다.
이 가운데 홍콩 성도일보는 이날 박 전 대통령이 미국의 동맹국 중 유일하게 70주년 전승절 행사에 참여했다는 사실을 언급하며 “한국의 대통령이 바뀌었고, 양국 관계에 약간의 개선이 있었지만, 이재명 대통령은 9월3일 베이징에 오지는 않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