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태 지역사회부장
최근 수도권 일대에서 ‘러브버그’라는 이름의 벌레가 대량 출몰하면서 이슈가 되고 있다. 엄청난 양을 자랑하는 러브버그들이 시민들에게 불쾌감과 불편을 야기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이 벌레는 떼를 지어 벽과 창문, 차량, 야외시설 등에 달라 붙는 습성이 강하다. 특히 사람의 얼굴, 팔다리, 옷 등에 붙어 혐오감을 유발하거나 사체가 수북이 쌓여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다. 그렇다면 이 러브버그는 최근 들어 우리 앞에 왜 이렇게 출몰하는 걸까.
러브버그(Love Bug)는 학명으로 ‘붉은등우단털파리(Plecia nearctica)’라 불리는 곤충이다. 가장 큰 특징은 암수 한 쌍이 꼬리를 맞댄 채 짝짓기를 하면서 떼를 지어 날아다녀 ‘사랑벌레’라는 별명이 붙었다.
러브버그는 원래 중국 남부, 일본 오키나와 등지에서 주로 서식했는데 최근 몇년 사이 기후 및 환경 변화의 영향으로 국내에서도 빈번하게 발견되고 있다. 특히 2022년 이후 수도권 일대에서 대량으로 관찰되기 시작했고 올여름에는 이른 폭염과 도심 열섬 현상 등으로 개체수가 급격히 늘어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대량 발생해도 보통 2주 이내에 자연스럽게 사라지고 인체에 직접적인 해를 끼치지는 않는다는 게 정설이다. 하지만 간과하는 것이 있다. 우리가 지키지 못하고 파괴한 지구는 작은 변화를 위험 신호로 바꿔 먼저 보낸다는 것을 말이다. 러브버그도 결국 진화되면서 우리 앞에 더욱더 강한 모습으로 변모해 나타날 것이다.
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방제 대책도 필요하지만 현 시점에서 더 중요한 것은 우리와 지구가 공존·공생하는 길을 더 빨리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전국적인 폭염과 열대야 속에서 이 순간 여러분의 에어컨은 안녕한지 궁금하다. 지구는 더 이상 기다려 주지 않을 것이다. 러브버그는 재앙의 시작일 뿐이라는 것을 잊지 말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