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형·체형 분석해 스타일링 추천 ‘퍼스널 컨설팅’ 유행 “내 장점 찾아줘” vs “외모 집착 부추겨”…엇갈린 반응 전문가 “사회적 파장 우려돼…내면에 집중해야”
개개인의 얼굴형과 체형을 분석해 스타일링을 추천해주는 영상에 대한 갑론을박이 펼쳐지고 있다.
자신에게 맞는 스타일을 쉽게 찾을 수 있게 한다는 긍정적 의견과 오히려 외모 강박을 심화시킨다는 지적이 충돌하기 때문이다.
6일 경기일보 취재 결과, 최근 유튜브를 중심으로 ‘퍼스널 컨설팅(Personal consulting)’ 영상을 올리는 계정이 많아졌다. 퍼스널 컨설팅이란 각 개인의 피부, 얼굴형, 체형 등 특징을 분석해 어울리는 화장법, 머리 모양, 옷 스타일 등을 추천해주는 서비스다.
채널 운영자들은 각기 다른 얼굴형·체형을 분석해 단점은 보완, 장점은 극대화하는 화장법, 머리 모양, 옷 스타일 등을 추천한다.
분석 방식을 살펴보면, 얼굴형은 골격과 가로·세로 길이 등을 고려해 ▲땅콩형 ▲하트형 ▲달걀형 등으로 나눈다. 체형은 발달 부위와 살성 등을 따져 ▲스트레이트 ▲웨이브 ▲내추럴 등으로 나눈다. 또한 미간 너비, 중안부 길이 등 이목구비 배치까지 세세하게 뜯어보는 경우도 있다.
이 같은 서비스에 대해 소비자들의 의견은 갈린다. 퍼스널 컨설팅 채널 구독자 김모씨(24)는 “거액을 내고 연예인들만 받던 것을 일반인도 무료로 간접 체험할 수 있다”며 호의적 반응을 보였다. 안성에 사는 권모씨(23)도 “내 외모의 장점이 무엇인지 알게 해준다”며 만족감을 드러냈다.
반면 용인에서 근무하는 직장인 심모씨(28)는 “최근 우후죽순 생겨난 영상이라 전문성이 의심된다”는 입장이다. 대학생 배모씨(24)도 “추천 스타일을 정답이라 믿는 사람들이 있더라”며 “신체를 하나하나 뜯어 분석하니 자기 검열을 부추기는 꼴”이라 비판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영상이 사람에 따라 약이 될 수도, 독이 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우리 사회 자체가 외모 문제에 과몰입하는 경향이 짙기에 사회적 파장이 우려된다는 분석도 나온다.
양재원 가톨릭대 심리학과 교수는 “외모 문제에 덜 민감한 사람들에게는 유용한 영상일 수 있지만, 취약성이 높은 사람들에게는 정신 건강을 악화시키는 촉발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제언했다.
심리학에서 취약성이란 정서적 공격을 받거나 피해를 입을 가능성에 노출돼 있는 성질을 말한다. 취약성이 높다는 것은 동일한 일을 겪고도 상대적으로 더 큰 타격을 받는다는 뜻이다.
양 교수는 이어 “우리 사회가 외모 강박적 성격을 띠다 보니 전 사회적으로 외모 집착이 심화될까봐 걱정된다”며 “섭식장애를 앓거나 강박이 심한 사람은 자신의 생김새를 떠올리게 하는 영상을 멀리하고 내면의 성장에 집중해보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