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북한 핵폐수 방류 의혹과 관련해 자체 시료 분석 결과를 공개하며 지역 해역의 안전성을 확인했다.
8일 시는 인천보건환경연구원으로부터 인천 강화군 주문도 서남방 해역 등 3곳의 시료 채취 분석 결과를 보고 받고, 방사성 수치가 모두 정상 범위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연구원의 조사 결과 모든 수치가 정상 범위로 나타나 우려하는 상황은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추적 관리를 이어가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북한 황해북도 평산군 우라늄 정련공장에서 핵폐수가 무단 방류했다는 정황이 잇따르면서 인천지역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졌다.
이에 따라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전국 244개 지역 감시망 측정 결과가 정상 준위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원안위 발표에도 시민들의 불안이 줄어들지 않자, 원자력·해양 당국은 지난 4일에서야 특별 실태조사에 돌입했다. 이번 검사 결과는 약 2주간의 분석을 거쳐 공개할 방침이다.
그러나 시는 원안위 발표 뒤 유 시장의 지시에 따라 즉각 자체 조사를 시작했다. 연구원은 지난 3일부터 인천 강화군 주문도 서남방 해역, 교동대교 남단, 서검도 북쪽 해역 등에서 바닷물을 채수해 긴급 수질 조사에 들어가 빠르게 사태 파악을 마쳤다.
유 시장은 “해양수산부와 원자력안전위원회 등이 참여하는 범부처 ‘서해 환경 모니터링 특별팀’을 조속히 구성하고, 인천 해역 인근에는 이동형 방사선 감시 장비를 추가 배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이번 사안과 관련해 파주와 김포 등 경기도 지역의 공동 조사 참여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북한의 정보 비대칭성과 무책임한 행태가 시민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평산 우라늄 정련시설에 대해 남북 공동조사 또는 국제기구와의 공동조사 수용을 북한에 강력히 촉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