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갤럭시 Z’ 7세대 및 워치8 공개…모바일 AI 대중화 선도

9일(현지시간) 뉴욕 브루클린 두갈 그린하우스에서 열린 신제품 공개 행사 ‘갤럭시 언팩 2025’에 전시된 플립7 모습. 연합뉴스
9일(현지시간) 뉴욕 브루클린 두갈 그린하우스에서 열린 신제품 공개 행사 ‘갤럭시 언팩 2025’에 전시된 플립7 모습. 연합뉴스

 

삼성전자가 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 2025’에서 폴더블 스마트폰 ‘갤럭시 Z 플립7’과 ‘Z 폴드7’, 스마트워치 신제품 ‘갤럭시 워치8’ 시리즈를 공개했다.

 

10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번 신제품에 자사 AI 플랫폼 ‘갤럭시 AI’를 전면 적용해, 사용자 경험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 삼성은 AI가 폼팩터의 경계를 허물고, 기기 간 연결성과 맞춤형 사용성을 강화하는 핵심 동력이라고 강조했다.

 

■ 확장된 플렉스윈도우와 생산성 강화한 ‘Z 플립7’

 

먼저 ‘갤럭시 Z 플립7’은 전작보다 넓어진 4.1형 플렉스윈도우를 탑재해, 기기를 펼치지 않고도 문자 회신, 음악 재생, 일정 확인, 셀피 촬영 등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AI 비서 ‘제미나이’를 통한 음성 명령도 지원된다. 특히 삼성 덱스(DeX) 기능을 지원하면서, 작은 화면의 폴더블폰에서도 외부 모니터 연결을 통한 업무 활용도가 높아졌다.

 

이외에도 4천300mAh 배터리와 최신 3nm 프로세서를 장착해 사용 시간을 늘렸으며, 두께 13.7mm·무게 188g으로 휴대성을 강화했다. 보안 측면에서는 녹스 매트릭스를 기반으로 앱별 독립 저장 공간을 생성하는 ‘킵(KiP)’ 기능과 양자 내성 암호 기술이 적용된 Wi-Fi가 도입돼, AI 기반 맞춤형 경험에 필요한 안정성을 높였다.

 

‘Z 플립7’은 블루 쉐도우, 코랄레드, 제트블랙 외 삼성닷컴 전용 민트 색상으로 출시되며 256GB 모델 기준 140만원대로 시작한다.

 

10일 서울 중구 삼성전자 기자실에서 열린 삼성전자 갤럭시 신제품 미디어 브리핑에서 관계자가 신형 폴더블 스마트폰 갤럭시 Z 폴드7 및 플립7을 소개하고 있다. 연합뉴스
10일 서울 중구 삼성전자 기자실에서 열린 삼성전자 갤럭시 신제품 미디어 브리핑에서 관계자가 신형 폴더블 스마트폰 갤럭시 Z 폴드7 및 플립7을 소개하고 있다. 연합뉴스

 

■ 대화면·고사양 AI 성능 갖춘 ‘Z 폴드7’

 

‘갤럭시 Z 폴드7’은 갤럭시 Z 폴드 시리즈 중 가장 얇고 가벼운 디자인(접었을 때 두께 8.9mm, 무게 215g)을 구현했다. 펼쳤을 때는 8.0형 대화면 메인 디스플레이가 제공돼 콘텐츠 편집이나 다중 작업 시 몰입감을 높인다. 6.5형 커버 디스플레이는 바(bar) 타입 스마트폰처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하드웨어 성능도 크게 향상됐다. 퀄컴 ‘스냅드래곤 8 Gen 3 for Galaxy’ 칩셋이 탑재돼 NPU·CPU· GPU 모두 빠른 AI 연산을 지원하며, 2억 화소 광각 카메라와 AI 기반 편집 기능을 통해 전문가급 촬영과 생성형 이미지 편집도 가능하다. ‘제미나이 라이브’, ‘서클 투 서치’, ‘AI 결과 뷰’ 등 멀티모달 AI 기능은 사용자 상호작용을 더욱 직관적으로 만든다.

 

‘Z 폴드7’은 블루 쉐도우, 실버 쉐도우, 제트블랙 외 삼성닷컴 전용 민트 색상으로 출시되며, 256GB 모델 기준 230만원대부터 시작한다.

 

‘갤럭시 Z’ 7세대 신제품은 오는 15일부터 21일까지 사전 판매 후 25일부터 전 세계 순차 출시된다.

 

10일 서울 중구 삼성전자 기자실에서 열린 삼성전자 갤럭시 신제품 미디어 브리핑에서 관계자가 갤럭시 워치8 시리즈를 시연하고 있다. 연합뉴스
10일 서울 중구 삼성전자 기자실에서 열린 삼성전자 갤럭시 신제품 미디어 브리핑에서 관계자가 갤럭시 워치8 시리즈를 시연하고 있다. 연합뉴스

 

■ 헬스케어 강화한 워치8…AI로 연결성 높여

 

‘갤럭시 워치8’ 시리즈는 삼성 스마트워치 중 가장 얇은 디자인으로 재설계됐으며, 내부 구조 최적화와 ‘다이내믹 러그 시스템’을 통해 착용감과 센서 정확도를 끌어올렸다. 전작보다 11% 얇아진 두께 덕분에 수면 중 착용도 용이하다.

 

건강 기능도 고도화됐다. 항산화 지수와 혈관 스트레스 측정 기능이 최초로 적용됐으며 ‘러닝 코치’, ‘마음챙김’, ‘스트레스 높음 알림’, ‘AI 에너지 점수’ 등 일상 건강 관리를 지원하는 다양한 기능이 포함됐다. 갤럭시 워치 최초로 웨어OS 6와 제미나이가 탑재돼 음성 기반 상호작용이 강화됐고, One UI 8 Watch로 인터페이스도 직관적으로 개선됐다.

 

삼성은 워치8 외에도 고강도 야외 활동에 최적화된 ‘워치 울트라’와 손가락에 착용하는 형태의 ‘갤럭시 링’도 함께 공개하며 헬스케어 라인업을 확대했다.

 

삼성전자 DX부문장 직무대행 노태문 사장이 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브루클린 듀갈 그린하우스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 2025’ 행사에서 초슬림 대화면 폴더블폰 ‘갤럭시 Z 폴드7’과 ‘갤럭시 Z 플립7’을 공개하는 모습.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 DX부문장 직무대행 노태문 사장이 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브루클린 듀갈 그린하우스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 2025’ 행사에서 초슬림 대화면 폴더블폰 ‘갤럭시 Z 폴드7’과 ‘갤럭시 Z 플립7’을 공개하는 모습. 삼성전자 제공

 

■ “AI로 일상 혁신”…생태계 전반으로 확대

 

삼성은 이번 언팩을 통해 AI를 기반으로 한 ‘개인화된 연결 경험’을 핵심 메시지로 제시했다.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간의 연동성을 높이고, 다양한 기기에서 자연스럽고 몰입도 높은 AI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폴더블 디스플레이와 멀티모달 AI를 결합한 새로운 사용성은 삼성만의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강조됐다.

 

노태문 삼성전자 DX부문장 직무대행은 현지 기자 간담회에서 “연내 약 4억 대의 갤럭시 기기에 갤럭시 AI를 탑재해 모바일 AI 대중화를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또 “최근 인수한 헬스케어 기업 젤스를 바탕으로 병원 의료 데이터와 웨어러블 생체 데이터 간 연결을 강화하고, 건강 데이터 기반 ‘커넥티드 케어 플랫폼’ 구축에 속도를 내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