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지역화폐 '고양페이' 인센티브 지급 전격 재개

11일부터 월 20만원 한도로 7% 인센티브 지급…월 최대 1만4천 포인트 적립
시 "한도 늘릴지 여부는 시 예산편성 여력 등을 검토해 추후 결정할 계획"

고양특례시 일산동구 식사동의 한 가게 입구에 고양페이 가맹점임을 알리는 스티커가 부착돼 있다. 신진욱기자
고양특례시 일산동구 식사동의 한 가게 입구에 고양페이 가맹점임을 알리는 스티커가 부착돼 있다. 신진욱기자

 

고양특례시가 지역화폐 인센티브 지급을 전격 재개했다.

 

11일 시에 따르면 이날부터 고양페이(지역화폐) 인센티브 지원사업을 다시 펼치고 있다. 만 14세 이상 시민은 지역 내 연매출 12억원 이하 매장에서 고양페이로 결제할 경우 월 20만원 이내 한도에서 7%의 인센티브(월 최대 1만4천원)를 지급받을 수 있다.

 

당초 시는 오는 9월 제2회 추경예산안이 시의회를 통과하면 인센티브 지급을 시작하기로 했으나 지역경제 활성화와 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국비 5억9천600만원을 성립 전 예산으로 긴급 편성해 선제적으로 재개하기로 했다.

 

지역 정치권에선 올 들어 7개월째 지역화폐 인센티브가 중단된 데 대한 시민 불만이 비등(경기일보 6월17일자 인터넷)한데다 더불어민주당이 정당 현수막 등을 통해 집중적으로 비판에 나서자 이동환 시장이 결국 결단을 내린 것이라는 분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시는 올해 지역사랑상품권 총 예산을 208억5천만원 편성했으며, 이는 국비 5억9천600만원(30%), 도비 5억9천600만원(30%), 시비 8억9천300만원(40%) 등으로 구성됐다.

 

시는 우선 국비와 도비를 선제 투입해 인센티브를 지급하고, 오는 9월 제2회 추경예산을 통해 나머지 소요 예산을 확보할 계획이다.

 

곽영숙 고양시 소상공인팀장은 경기일보와의 통화에서 “편성 예산과 그동안의 사용액 평균치를 계산해 월 한도를 20만원으로 정했다”며, “한도를 늘릴지는 시비 편성 여력을 관련 부서와 협의해 추후 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고양페이는 학원, 음식점, 편의점, 레저업소 등 지역 가맹점 2천600여곳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시는 올해 고양페이 총 발행액이 297억8천만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편, 경기지역화폐 홈페이지의 인센티브 지급 현황에 따르면 11일 기준 도내 31개 시·군 중 17곳이 인센티브를 지급하고 있으며, 고양 포인트 지급 한도가 가장 낮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