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 민속놀이 정주당 대동놀이 되살린다

“양주 별산대놀이와 대별될 수 있는 의정부의 정주당 대동놀이를 계승 발전시키는데 앞장서겠습니다”

의정부시의 전통 민속놀이인 정주당 대동놀이가 최근‘가재울놀이패’(회장 원관영)라는 동아리의 활발한 활동으로 전수되고 있다.

특히 지난 9월1일부터 양일간 동두천 종합운동장에서 개최됐던 제12회 경기도 민속예술축제에서 의정부시를 대표한 가재울놀이패의 정주당 대동놀이가 공로상과 함께 전국 31개 시·군중에 3위에 입상하는 쾌거를 이루자 최근 정주당 대동놀이의 활성화에 더욱 고무된 상태다.

의정부시 가능동의 옛 지명을 딴 가재울놀이패는 지난 88년 결성돼 각종 민속공연때마다 사물놀이와 풍물놀이를 선뵈며 지역내 노인잔치의‘여흥’에 감초역할을 해왔다.

지난 86년 의정부문화원 정주당 대동놀이연구회에 소속된 민속보존회가 정주당 대동놀이로 경기도 민속경연대회에서 창안상을 받은 이래 지난 95년에는 경신연합회가 노력상을 수상하기도 해 의정부의 정주당대동놀이는 명실상부한 의정부의 민속놀이로 자리매김을 했다는 평가다.

정주당 대동놀이는 병자호란때 청나라에 조공으로 바쳐진 의순공주가 평안도 정주에 이르러 강물에 몸을 던져 목숨을 끊자 의순공주의 유품인 족두리를 건져 의정부시 금오동 천보산 아래에 일명‘족두리 산소’와‘정주당’을 만들어 넋을 달랬다는 일화에서 비롯됐다.

이때부터 고장 사람들은 비명에 간 왕족 여인의 넋을 위안하고 풍년과 무병장수를 빌며 고사를 지낸 다음 농악과 횃불이 어우러지는 고장의 민속놀이 겸 동제로 발전시켜 전승하면서 지금에 이르렀다.

최근 이런 정주당 대동놀이가 다시 재현된 것은 10여년 넘게 연구를 거듭한 정주당 놀이연구회의 가재울놀이패 김용천씨(45·상쇠-리더)의 숨은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현재 20대서부터 70대까지 18명의 아마추어 동호인들로 구성된 가재울놀이패는 매년 3∼4개월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