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무예능보유자 이애주씨 한맥의 춤

중요무형문화재 승무 예능보유자이며 서울대 교수인 이애주씨의 ‘99 한맥의 춤’ 공연이 오는 17일부터 23일까지 충남 홍성과 경기 부천, 서울 등에서 연이어 열린다.

지난 87년 고 이한열 추도식장에서의 한풀이춤으로 일반인들에게 더 유명하지만, 그는 사실 우리 춤의 원형에 집착하는 춤꾼으로 한영숙씨(1920-1989)로부터 사사받았고, 그 과정에서 승무를 전수받았다.

‘99 한맥의 춤’은 스승의 춤맥을 이어가는 무대로 이씨는 “우리춤의 바른 몸짓과 정신을 올바르게 보여주고 각인시키고 싶다. 새 천년을 앞두고 지난 수천년의 춤사위를 정리하는 마음가짐으로 무대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이씨는 이번 공연에서 전통 칼춤의 재현에 가장 공을 들였다.

일반적으로 공연되는 검무는 목이 잘린 짧은 칼을 돌리면서 추는 춤이다. 그러나 고구려의 벽화, 신윤복의 풍속화, 다산 정약용의 한시 ‘무검편증미인(舞劍篇贈美人)’속의 검무는 마치 무사들이 쓰는 것 같은 장검이 등장한다.

“칼춤은 마음과 기를 다스리는 수단으로 신라 화랑들도 췄다는 기록이 있지만 원형이 전해지지 않았지요. 조선시대 말, 암살위험 등을 이유로 칼의 목이 잘리면서 귀여운 느낌의 춤으로 바뀌었습니다. 이번에 재현하는 칼춤은 시와 그림에 묘사된 동작과 제 스승의 춤사위를 기본으로 재창조한 것인데, 장엄하면서도 격렬한 느낌을 줍니다.”

전통칼춤은 10여년간 구상만 해오다가 지난 10월 경기문화재단의 주도하에 남양주 다산문화제에서 시연한 것을 계기로 무대에 올리게 됐다.

또 하나 내세울만한 것은 ‘상징화된’ 학춤. 궁중정재나 중부지방 학춤은 실제로 학모양을 뒤집어 쓰는데, 이번에는 두루마기의 펄럭이는 자락으로 학의 날개를 상징하고 머리에는 학을 표현한 관을 쓰고 추게된다. 이밖에 승무, 살풀이춤의 원형인 본살풀이, 태평무 등도 보여준다.

공연은 17일 오후 7시 한성준 선생의 고향인 충남 홍성의 홍주문화회관을 시작으로 20일 오후 7시 부천 복사골문화센터, 22-23일 오후 7시 서울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차례로 펼쳐진다. /이연섭기자 yslee@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