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1월 제17대 인천상공회소 회장 및 의원선거를 앞두고 상의 개혁론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이를 위해서는 그동안 반복돼온 ‘나눠먹기 식’선거관행부터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12일 인천상의에 따르면 상의선거는 회원업체 대표들이 우선 일반의원 30명을 뽑고 일반의원들이 특정·특별의원 24명을 지정한 뒤 이들 의원 54명이 최종적으로 투표를 통해 회장을 선출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 97년도 16대 회원선거때는 모두 33명의 의원후보자가 등록, 투표를 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사전조율을 통해 3명의 후보가 사퇴하는 형식으로 정원수를 맞춘 뒤 선거를 치르지 않았다.
또 무투표로 선출된 의원들은 일부 사퇴후보를 특별의원으로 지정해 주는 등 소위 ‘나눠먹기 식’의원뽑기가 관행처럼 이어지며 지난 80년대 이후 단 한차례의 의원선거도 치르지 않았다.
특히 이같은 선거방식과 일정은 차기 집행부 마인드에 따라 선출돼야 할 특별의원 9명(교수 등 자문역할위원)이 현 집행부의 입김에 의해 사전에 구성되는 문제를 안고 있는데다 공정해야할 회장선거에도 악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와관련, 상의 관계자는 “그동안 의원선거를 치르지 않은 것은 등록자수가 정원을 넘지 않거나 사전조율이 가능한 소수에 불과했기 때문이며 내년 선거에서 등록자가 정원수를 초과 할 경우 반드시 투표를 실시하겠다”고 말했다. /류제홍기자 jhyou@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