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오전 11시30분께 수원시 팔달산 JC회관 부근.
크리스마스 이브를 축하라도 하듯 온 산하가 눈으로 뒤덮인 가운데 어려운 처지의 사람들이 끼니를 떼우기 위해 인근 무료급식소로 하나둘씩 모여들기 시작했다.
“나는 그래도 행복합니다.”
모닥불로 추위를 쫓던 노숙자 최모씨(40·강원도 홍천)의 말에 다른 사람들의 관심이 집중됐다. 최씨는 자신의 ‘겨울나기 비법’을 자랑삼아 털어놓기 시작했다.
최씨는 지난해 IMF한파로 직장이 문을 닫아 거리로 내몰렸고 부인은 생활고를 견디다 못해 집을 뛰쳐나가 노숙자 신세로 전락했다는 것.
“잠자리는 잘아는 분이 공장 경비원으로 일하는 숙소에서 해결해요. 미안해서 잡일을 도와주지요.”
최씨는 만약 경비원이 근무를 하지않는 날은 교회에서 잠을 청하고 있다는 것이다.
최씨의 끼니떼우기 방법은 다른 사람들의 귀를 쫑긋 세우기에 충분했다.
점심은 무료급식소에서 해결하지만 아침이나 저녁이 문제. 그래서 값이 싼 수원시내 대학교 구내식당에서 사먹고 있다. 식사비는 기껏해야 1천5백원이라는 것.
안산시내 모교회에서 주말이면 노숙자들에게 1만원씩 나눠주고 있는데 이 돈을 아껴쓰며 식사값에 보태고 있다.
“그러지 말고 공공근로라도 하지 그려”
한 노숙자의 이같은 말에 최씨는 “주소가 강원도로 돼있어 이곳에서는 공공근로도 못해요” 라며 아쉽다는 표정을 지었다.
낡은 털장갑을 낀 손으로 얼굴과 귀를 만지작거리며 한기를 쫓던 최씨는 “날씨가 따뜻해지면 공장에 취직이라도 하고 가족들을 찾고 싶다”며 자신의 소망을 피력했다.
흔히들 IMF의 상징이라고 일컫는 노숙자. 이들에게 ‘나눔의 정’이 넘쳐나는 우리의 인정은 언제쯤 되살아날까./신동협기자 dhshin@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