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키와 등반, 스케이트 등 겨울철 레저활동이 활기를 띠며 몇년동안 주춤했던 동상환자가 늘어나고 있다.
난방시설이 제대로 돼있지 않던 시절에 동상은 흔한 질환이었다. 따뜻한 곳에 가면 근질근질한 증상부터 붉게 부풀어 오르면서 아프거나 더 심하면 동상부위를 절단하는 일도 있었다.
난방기기의 보급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크게 줄었던 동상환자가 최근들어 겨울철 레저활동의 보급으로 다시 늘고있는 추세다. 동상의 예방과 치료에 대해 알아본다.
동상은 혈관이 추위로 손상돼 조직이 상하면서 일어나는 증후군이다. 동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몸이 차가워지지 않게 해야한다. 이런 방법의 첫 단계가 우리 몸에서 열을 빼앗기지 않게 하는 것이다. 외부의 바람이 몸에 닿으면 체온을 많이 빼앗기므로 방풍을 할 수 있는 의류장비를 갖추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예방책이 된다. 물기는 증발할때 주위로부터 열을 많이 빼앗아 가므로 젖은 의복이나 장갑 등은 절대 착용하지 않는다.
또 흡연은 혈관을 수축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동상의 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절대 금기이며 음주역시 열을 많이 손실시키므로 금하는 것이 좋다.
동상의 치료법은 동상부위를 즉시 섭씨 40도 정도의 뜨거운 물에 20∼30분간 담가 따뜻하게 해주는 것이다. 겨울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이나 민간요법에서 말하는 소위 ‘차가운 것은 차가운 것으로 푼다’는 이론은 별로 근거가 없는 말이다. 동상부위를 차가운 물에 담그면 잠시 통증을 억제하기는 하지만 동상을 오히려 악화시키기 쉽다. 또 손으로 비비거나 마사지하는 방법도 별로 효과가 없으며 오히려 피부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수원 심피부과 심우철원장은 “동상이 심한 경우에는 물집이 생기게 되는데 이런 물집은 터뜨리지 말고 그대로 두는 것이 안전하며 통증이 심한 경우에 진통제를 사용해도 괜찮다”고 조언한다.
또 동상부위는 가급적 외부로부터 자극을 받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동상부위는 감각이 둔해져서 손상을 입기 쉬우며 일단 손상을 받으면 정상 부위에 비해 잘 낫지 않고 2차 감염이 잘 발생하므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이연섭기자 ysle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