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벤처기업에 대한 지원이 담보요구 등 까다로운 조건때문에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가 하면 지원액도 기존의 중소기업 위주로 흐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벤처기업 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이 당초 목적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데다 지역내 벤처기업들이 첨단 고부가가치산업보다 기계·전자업에 치우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같은 사실은 인천경실련이 지난 8월부터 10월까지 3개월간 인천지역 벤처기업의 운영실태를 조사, 28일 발표한 보고서에 의해 밝혀졌다.
보고서에 따르면 일자리 창출과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해 인천시가 정부 정책에 따라 벤처기업에 창업자금 등을 지원하고 있으나 벤처기업들은 신용보증기금으로부터 보증서 발급이 어려운데다 담보요구 등 까다로운 조건으로 당초 올해 책정된 100억원의 20%인 20억원을 지원받는데 그쳤다.
실제로 지난 8월말 현재 인천지역 벤처기업은 327개로 설비투자비용 조달방법으로 45.1%가 자기자금, 34.7%가 은행차입으로 자본을 조달했다고 답한 반면, 유관기관을 통해 지원받는 경우는 전체 업체중 14.1%로 나타나 중소기업청과 시의 지원이 미약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또 지난해 말 현재 벤처기업에 종사하는 평균 종업원수는 정규직 54명, 임시직 3명 등 모두 57명으로 당초 목적했던 일자리 창출 효과를 거두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체 벤처기업 가운데 기계금속업이 44.7%인 147개, 전기전자산업이 23.8%인 78개로 나타났고 고부가가치 산업인 정보통산업은 27개로 나타나 전체의 10%에도 못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관련, 시 관계자는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조건이 까다로워 지원액을 책정해 놓고도 지원하지 못한 사례가 있다”고 말했다. /이영철기자 wyatt@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