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천년 즈믄해가 열렸다

새 희망 새 즈믄해가 열렸다.

외세의 침략, 일제 식민지, 6·25 동족상잔, 독재정권, IMF 경제한파 등 인고의 삶으로 점철돼 온 지난 즈믄해를 우리는 민족의 대단결·대화합으로 극복해 왔다.

굴욕의 역사를 뒤안길로 접어둔 우리에게 새 즈믄해는 역사의 정점인 민주화·통일의 시대를 맞고 있다.

독재정권에 맞서 싸운 민초들의 희생은 민주화의 문을 열었고 영원히 가보지 못할 것으로 보였던 북한과의 금강산 관광, 문화·체육교류 등으로 ‘적’이 아닌 ‘동족’으로 그들을 맞이하면서 민족의 염원인 ‘통일’은 이제 꿈이 아닌 현실로 우리 곁에 다가오고 있다.

통일의 시대, 우리에게 요구되는 것은 아픈 과거의 상처를 보듬을 수 있는 ‘포용력’, ‘동질성’을 갖는 것일 것이다.

‘전쟁의 학살시대’로 불리는 지난 세기속에서 냉전의 종식, 자본주의 발전, 통신 등 과학의 발달은 우리에게 또 하나의 변화를 가져왔다.

국경없는 세계 시장의 단일화, 즉 세계화가 그것이다.

초고속통신만과 인공위성 등 디지털시대인 새 즈믄은 국가 뿐만이 아니라 개인, 가정, 지역간의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새로운 세계시장의 판도변화를 가져올 것이 확실하다.

우수한 두뇌와 인동초의 삶속에서 다져진 개인의 경쟁력은 세계 최고로 인정받고 있는 우리에게 치열한 경쟁에서 동북아의 중심지, 세계의 중심지로 우뚝서기 위해서는 과감히 반목과 갈등의 구태를 벗어버리고 서로 더불어사는 사회, 단결과 단합이 숨을 쉬는 사회를 조성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또 새 즈믄은 우리에게 세계적인 의식함양도 주문하고 있다.

급속한 산업화는 우리에게 생활의 편리, 물질의 풍부함을 제공했지만 환경파괴, 인간성 상실이란 부작용도 가져다 주었다.

환경은 생명이다. 환경을 지키고 보호하지 않으면 지구의 미래는 찾아볼 수 없다. 인간의 공멸을 자초할 뿐이다.

작은 곳에서 부터 환경을 지켜 나가는 환경의식을 가져야 할 때다.

특히 정치·경제·사회 모든 분야에서 신뢰하고 서로가 서로를 존중하고 더불어 사는 사회, 인간성· 도덕성이 존중되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 세계의 중심지로 우뚝서는 국가, 지자체를 만드는 제일의 덕목이라 하겠다.

이제 새 즈믄해를 맞아 변화하려는 노력, 도전하는 힘, 더불어 살려는 각고만이 희망의 2000년대를 맞이할 수 있다./유재명기자 jmyoo@kgib.co.k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