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실련, 참여연대 등 300여 사회단체가 ‘공천 부적격자면단’발표와 낙선운동을 전개키로 한 가운데 경기도내 노동계도 반노동적 성향의 정치인들에 대한 ‘낙선운동’을 전개키로 해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11일 한국노총·민주노총 경기지역본부에 따르면 한국노총 경기지역본부는 12일 의장단회의를 갖고 총선특위 및 실무기획단을 구성해 4·13 총선 후보자들을 대상으로 ‘지지·낙선운동’을 전개하기로 했다.
한노총은 ▲친노동계성향 ▲개혁성 ▲청렴성 ▲당선가능성 ▲제휴정당 등 5개항의 총선후보자 채점을 통해 60점이상은 지지하고 40점미만은 낙선운동을 전개하기로 했다.
한노총은 특히 총선공약으로 내세울 ▲전임자 임금 지급 ▲주 노동시간 40시간 단축 ▲공무원 단결권 보장 ▲부패방지법 제정 ▲한전 등 전략산업의 매각 반대 등에 반대해온 후보도 낙선운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한국노총은 이에 따라 2월말까지 12만명 도내 조합원을 대상으로 선거인명부를 작성, 3월말 선거구별 지지후보자와 제휴정당 및 낙선후보자 등을 발표할 계획이다.
민노총 경기지역본부도 14일 중앙위원회, 18일 대의원대회를 열고 노동자 밀집지역 후보자출마 및 출마자 평가를 통한 공천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로 했다.
민노총이 총선공약으로 내세울 ▲20% 부유층, 80% 빈곤층의 불평등 현실 개혁 ▲주5일 근무제 실시 ▲노동기본권 확보 ▲해고노동자 복직 등을 공약으로 내세우거나 그동안 노동관계 정책에 비우호적인 후보 등에 대해 지지·낙선운동을 전개키로 했다.
노동조합의 정치활동은 공직선거 및 선거부정방지법 87조에 보장돼 있지만 이들의 지지·낙선운동은 당락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오는 12일 발족할 ‘2000년 총선시민연대’에 당초 100여 단체에서 300여단체로 확대되는 등 사회시민단체의 참여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정치권이 명예훼손 소송제기 등 공동대응키로 해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또 당초 입장을 유보했던 선관위도 이날 경실련의 ‘공천 부적격자’ 명단 발표를 사전선거운동으로 잠정 결론짓고 오는 17일 9인 전체회의를 열어 공식입장을 발표키로 했다.
/최인진·유재명기자 jmyoo@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