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정국에 사정한파 여야 정치권 긴장

총선정국에 대한추위를 능가하는 사정 한파가 몰아칠 조짐을 보임에 따라 여야 정치권이 긴장하고 있다.

그렇지 않아도 시민단체들의 낙천·낙선운동으로 잔뜩이나 움추리고 있는 상태에서 사정당국이 여야 의원들을 포함한 병무비리 혐의자에 대해 본격적인 내사를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자 사정바람의 진원지와 목표점에 여야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나라당은 자신들이 주요 과녁이 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고, 여당 의원들도 ‘공천 물갈이’의 사전 포석으로 해석하며 사태의 추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특히 한나라당은 아직은 숨죽인 상태에서 사정바람의 실체 파악에 주력하고 있으나 사정작업이 가시화될 경우, ‘야당탄압’이라며 강력 반발하고 나설 것으로 예상돼 경우에 따라선 총선정국에 큰 파장을 던질 가능성도 있다.

자민련도 예외일 수 없을 것이라는 점에서 긴장을 늦추지 않는 가운데 사정바람의 ‘동기’에 의구심을 나타내고 있다.

정치권은 또 김대중 대통령이 시민사회 단체의 선거운동을 금지한 선거법 87조의 폐지를 지시한 데 이어 20일 민주당 창당대회 총재취임사에서 ‘반부패’의목소리를 높인데 주목하고 있다.

사실 김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정치개혁을 강조하며 이를 추진하기 위한 힘을 얻기 위해 국민과 시민단체에 직접 호소할 수밖에 없다고 판단하고 있는 듯한 인상을 풍겼다.

선거법 등 정치개혁입법 협상과정에서 보여준 정치권의 구태의연한 모습과 그에 대한 국민의 반발이 김 대통령의 대국민 직접호소 전략을 촉발시켰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김 대통령이 시민단체들의 낙천.낙선운동과 그에 대한 국민여론의 절대적 지지속에 상당한 조직력을 갖춘 대학가까지 가세하는 등 정치인 물갈이 요구가 달아오르는 상황을 적극 활용, 정치개혁 특히 정치인 물갈이에 나설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또 여권의 한 관계자는 현재까지 병무비리만 부각되고 있으나 조만간 건축비리와 관련, 여야 거물급 정치인 3∼4명의 문제도 불거지는 등 그동안 사정당국에서 각종 부정부패 행위에 대해 내사나 수사해온 결과가 잇따라 나올 것이라고 예고해 주목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