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당의 늦장 공천과 국회의 선거구획정 난항,시민단체들의 선거개입 논란으로 4·13총선에 나설 입후보 예정자들이 선거운동 및 전략수립의 방향조차 설정치 못하고 허둥대고 있다.
23일 지역정치권에 따르면 각당의 공천이 늦어지고 있는 가운데 국회의 선거구 획정작업까지 지연되고 있어 입후보 예정자들이 공략대상과 출마지역을 확정치 못하고 중앙정치권의 눈치만 보고 있다.
더구나 시민단체들의 선거개입이 쟁점화되면서 입후보 예정자들은 선거운동 대상을 지역주민에서 시민단체로 확대하는가하면 사이버공간상의 선거운동도 다양화됨에 따라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수원 권선·팔달구에 나서고 있는 일부 출마후보자들은 선거구 획정과정에서 권선구에 이어 팔달구도 분구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옴에 따라 그동안의 조직확산과 이미지관리등의 선거작업을 중지하고 지지세 분석을 통한 최종 출마지 선택에 나서고 있어 세확산 전략에 차질을 빚고 있다.
또 현역의원 교체설까지 나돌고 있는 가운데 새천년 민주당이 18곳, 한나라당이 2곳등에 대해서만 조직책을 선정하는 등 각당의 조직책 선정작업이 늦어지고 있어 출마예정자들이 진로를 결정치 못하고 있다.
특히 기존정치권 인사들은 시민단체들이 선거에 개입하겠다고 선언하는 한편 각당에서도 시민단체가 거론한 인사에 대해서는 공천과정에서 반영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지역주민을 상대로한 선거운동과 별도로 시민단체 끌어안기에 골몰하고 있다.
이밖에 선거임이 점차 다가옴에 따라 사이버 공간상의 선거운동도 기승을 부리고 있어 출마예정자들은 더욱 힘겨워하고 있다.
“과거 선거과정에 비추어 볼때 요즘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전략 목표는 지역주민을 끌어안는 이미지 관리와 공약개발 이었다” 고 밝힌 수원지역의 한 출마예정자는 “그러나 이번 선거는 중앙정치권의 사전선거 채비 지연은 물론이고 시민단체와 사이버 공간의 유권자의 정치참여로 공략대상의 우선순위를 설정치 못해 선거전략조차 수립할 수 없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정일형기자 ihjung@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