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0억원을 들여 7년만에 완공된 수원 청소년문화센터가 26일 역사적인 개관식을 갖는다. 그러나 설계 당시부터 청소년과 전혀 관계없는 시설이 세워지거나 규모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주차공간 등 시설 곳곳이 이용자의 편의가 고려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 프로그램도 지역특성이 고려되지 않은 구태의연한 프로그램으로 졸속운영되는 등 시작부터 각종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본지는 이같은 실태와 대안을 3회에 걸쳐 긴급진단한다./편집자주
1. 설계부터 주먹구구
2. 이용객 외면한 시설
3. 구태의연한 프로그램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 331의1 수원 청소년문화센터는 1만6천837평의 부지에 연면적 5천238평으로 93년 7월 착공돼 7년만인 지난해 12월6일 완공됐다.
수원 청소년문화센터가 가장 자랑하는 국제규격의 10레인 50M의 수영장.
그러나 이 수영장은 당초부터 구먹구구식으로 청소년의 이용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국제규격에만 초점을 맞춰졌다. 우선 수영장의 깊이가 1.8m로 청소년들이 이용하기에는 깊다. 이에따라 시는 최근 별도의 예산을 낭비하며 25m구간에 1.2m의 수위조절판을 설치했으나 이마저 하자가 발생, 보수작업을 벌이고 있는 실정이다.
또 수영장의 이동식 관중석은 일반인들이 수영장안에 신발을 신고 들어오지 않고 2층 관중석을 통해 곧바로 내려올 수 있도록 설계돼야 하지만 주출입구를 통하거나 수영장안으로 들어와 관중석에 앉도록 설계돼 있어 경기에 지장을 주거나 수영장 내부의 혼잡이 불가피한 상태다. 이와함께 수십명에서 수백명이 동시에 수용장을 사용하고 청소년의 경우는 단체로 이용할 경우가 많지만 개인 사물함은 200여개, 샤워 꼭지도
남·녀별 각19개에 불과해 큰 불편을 초래할 것으로 보인다.
수영장동은 체육관과 지하 등에는 냉방시설이 마련돼 있으나 수영장에 들어가는 1층에는 중앙냉방시설이 없어 별도의 냉방시설이 불가피한 상태다.
여기에다 청소년문화센터는 건축연면적만 5천200평에 달하고 있으나 주차면수는 99대이다. 직원 및 상시출입 차량만 50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돼 수영장 이용인구들이 사용하기에도 턱없이 부족한 상태다.
또 청소년지도자들은 상시적으로 이용되지 않을 숙박시설과 공연장, 체육관 등은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도로 사용될수 있도록 설계돼야 하지만 고정시설로 설계돼 막대한 예산투입에 비해 효율성 크게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이에대해 시 관계자는 “수영장은 청소년 이용도 있지만 부대시설과 레인 모두 국제규격에 맞춰 설계됐다”며 “주차장 부족과 부대시설 활용도 문제는 사용뒤 대책을 세우겠다”고 밝혔다.
/최종식기자 jschoi@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