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몽룡과 성춘향의 사랑 이야기를 중심으로 당시의 시대상을 그린 한국고대소설 ‘春香傳’을 모르는 사람은 아마 없을 것이다. 여러가지 고본과 영역본, 그리고 판소리로도 전해져 내려온 ‘춘향전’은 최장기 베스트셀러라고 할 수 있다. 이 ‘춘향전’은 무려 14번이나 영화화된 사실에서도 그 ‘위력’을 알 수 있다.
1923년 일본인이 처음 제작한 ‘춘향전’에서 ‘춘향’역을 맡은 첫 배우는 기생 한룡이었다. 한룡은 이몽룡역의 미남 변사 김조성과 함께 경성 사람들의 수많은 발길을 극장으로 끌어 들였다.
한국인 이명우가 감독한 1935년의 두번째 ‘춘향전’에는 문예봉이 춘향역을 맡았고 그후 조미령 박옥린 고유미 김혜연 김지미 최은희 서양희 홍세미 문희 장미희 이나성 이효정이 출연했다. 영화속의 성춘향은 시대에 따라 이미지가 바뀌었다.
1920년대에는 기생의 이미지가 강했고 1950년대에는 청순가련형으로 바뀌었다. 1960년대 전반에는 현모양처형으로, 후반에는 쾌활한 춘향으로 탄생했다.
조미령이 주인공으로 나선 1955년도의 ‘춘향전’은 서울에서만 30여만명의 관객을 동원하는 대성공을 거뒀다. 1961년에는 당대 최고의 여배우 김지미(춘향전)와 최은희(성춘향)가 연기대결을 펼쳤는데 현모양처형을 부각시킨 ‘성춘향’에 관객이 더 많이 몰렸다.
임권택 감독의 ‘춘향뎐’에서 14대 춘향역을 맡은 이효정은 역대 춘향 가운데 가장 나이가 어리고 춘향과 같은 나이인 16세 때 1000대1의 경쟁률을 뚫고 발탁된 그야말로 이팔청춘 여고 1년생이다.
2000년도 춘향의 이미지는 사랑을 즐길 줄도 알면서 지배계층에 항거할 줄도 아는 당찬 여인의 모습이라고 한다.
‘춘향전’을 사람들이 여전히 좋아하는 현상을 보면 세월이 아무리 흘러도 성춘향처럼 정절을 지킨 여인의 사랑은 영원한가 보다. /청하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