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의 낙천·낙선대상자 명단 공개와 내각제 강령 배제 등으로 빚어진 민주당과 자민련의 관계복원이 요원하다.
민주당은 자민련측이 제기한 ‘음모론’을 적극 해명, 갈등해소를 시도하고 있으나, 자민련이 여전히‘시민단체-청와대·민주당 커넥션’의혹을 떨쳐버리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8일 청와대 한광옥비서실장이 자민련 김종필명예총재를 방문, 자민련측의 ‘오해’에 대해 해명했으나, 김명예총재의 부정적인 입장만을 재확인했다.
민주당이 내각제 강령제외와 시민단체의 낙천·낙선운동에 대해 납득할 만한 조치가 없는한 관계복원에 나설 수 없다는 것이다.
자민련 이긍규총무가 29일 “내각제 강령 배제와 시민단체의 명단 발표에 대한 문제를 풀지 않고서는 민주당의 공조요청은 물론 DJP회동도 없다”고 못박은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에 따라 민주당은 자칫 양당 갈등을 조기에 해소하지 않을 경우 장기화될 우려가 있고 총선전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 31일 국회에서 양당 사무총장 접촉을 통해 관계회복에 나설 방침이다.
그러나 여권은 양당의 관계복원을 그리 어둡게 전망하고 있지는 않다.
자민련이 선거전략 차원에서 충청표 결집과 보수층의 지지를 유도하기 위해 ‘음모론’을 적극 제기하고‘반DJ’색채를 강화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결국 여권이 수도권 의석을 보다 많이 차지하기 위해서는 2여 공조가 불가피한 만큼 일정 정도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레 관계획복이 되지 않겠느냐는 시각이다.
일각에서는 31일 양당 총장간 회동에서 의견접근이 이뤄질 경우 설연휴 전후 ‘DJP회동’이 있지 않겠느냐고 전망하고 있다.
/이민봉기자 mble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