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금주중 4·13 총선에 나설 후보자에 대한 본격적인 공천작업 나설 방침임에 따라 조만간 경기·인천지역의 대체적인 공천자 윤곽을 드러날 전망이다.
그러나 각 당의 대폭적인 물갈이 방침과 총선연대 등 시민단체들의 낙천·낙선운동에도 불구하고 각당이 조사한 여론조사결과, 신진인사들의 여론이 당선을 담보로한 신뢰성 수준까지 상승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경기·인천지역의 물갈이 폭은 그리 크지 않을 보인다.
민주당과 한나라당은 국회 선거법이 8일 처리되는 대로 공천심사작업에 박차를 가해 공직사퇴 시한(13일) 이전에 가능한한 대부분 지역의 공천을 매듭지을 방침이며 자민련도 이번주중 공천심사위원회를 구성, 공천작업에 본격 착수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각 당 내부에서는 공천을 둘러싼 경쟁이 한층 가열되고 있으며 공천심사가 마무리되는 대로 탈락자의 반발로 당내 홍역을 치를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낙천운동을 벌여온 총선시민연대 등 시민단체들이 발표했던 인사가 공천될 경우 본격적으로 낙선운동 전개에 나설 것으로 보여 정치권은 적지않은 공천후유증에 시달릴 것으로 예상된다.
민주당은 7일 공천신청자 공모가 끝나면 8일 공천심사위원회(위원장 장을병)를 열어 2~3일간 집중적으로 자료검토와 일부 ‘낙천명단’ 인사들에 대한 소명기회 부여 등의 절차를 밟아 12일께 수도권과 무경합 및 선거구 통합지역 등을 중심으로 가능한 많은 공천후보를 발표할 예정이다.
민주당은 이미 공천 신청자료에 대한 1차 검토를 통해 수도권과 호남권을 중심으로 약 80여개 지역구의 공천자를 단수로 압축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민련은 이달 중순부터 경합이 치열하지 않은 현역의원 지역부터 1차로 공천자를 발표한뒤 3월중순까지 2, 3차로 나눠 공천작업을 매듭지을 계획이며 시민단체에서 낙천 대상자로 지목된 후보라도 당선 가능성에 문제가 없을 경우 공천할 계획이다.
한나라당은 설연휴중에도 공천심사작업을 강행, 현역의원을 중심으로 120여개 선거구의 공천자를 사실상 확정했으며, 공직자 사퇴시한 전에 대부분 지역의 공천을 매듭지을 방침이다.
이와 관련, 하순봉 사무총장은 “현역의원 중심으로 절반 가까운 지역이 단수로 좁혀졌다”고 밝혔다.
그러나 한나라당은 1단계 심사마감(11일) 후에도 공천자를 바로 발표하지 않고 민주당의 공천결과를 지켜본 후 공개할 방침이다.
이같은 각당의 공천과정에 대해 지역정가는 “당선위주로 공천을 할 경우, 경기· 인천지역에서 현역의원의 물갈이 폭은 극히 작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지역정가가 이같이 분석하고 있는 것은 각당이 그동안 수도권 민심운운하며 신세대를 대거 거론했으나 정작 그동안 벌여온 여론조사결과, 이들이 여론몰이를 하지 못하고 있다는 판단에 기인하고 있다.
지역정가의 분석에 따르면 현역의원중 물갈이 대상에는 경기·인천지역에서 민주당 3~4명이 거론되고 있을 뿐 한나라당이나 자민련에서는 현역의원 물갈이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상당수 지구당 위원장들은 당의 이미지 제고차원에서 교체폭이 상당할 것으로 지역정가는 분석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정일형·이재규기자 ihjung@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