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건설업체 지역경제 활성화 외면

경기도내 일반건설업체들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역의무공동도급 비율의 상향조정 등을 관계 요로에 건의하면서도 이율배반적으로 도내 전문건설업체들에게 하도급을 준 실적은 극히 미미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역행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도내 일반 및 전문건설업계에 따르면 일반건설업체가 도급받은 1건의 공사금액이 20억∼30억원 미만일때 20%, 30억원 이상일때는 30%를 해당업종 전문건설업체에게 의무적으로 하도급을 주도록 되어 있으나 제대로 이행되지 않는데다 하도급을 줄 경우도 대부분이 타지역 업체를 선호하고 있다.

이때문에 지난 98년 도내 일반건설업체들은 총수주액 4조7천122억여원 가운데 고작 9%인 4천241억여원만 도내 전문건설업체들에게 하도급을 준 것으로 집계됐으며 지난해에도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추계돼 지역경제 활성화를 역행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이에 앞서 지난 97년의 경우도 일반건설업체의 총수주액 5조2천929억여원 가운데 불과 6%인 3천117억여원만 도내 전문건설업체들에게 하도급을 준 것으로 밝혀져 지역주민들의 고용증대를 외면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같은 추세에 따라 지난 98년의 경우 도내 전문건설업체들의 총수주액 2조7천917억여원 가운데 하도급 금액은 1조7천600억여원으로 63%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는데 도내 일반건설업체들로 부터 하도급 받은 금액은 15%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관련 전문건설업체의 한 관계자는 “타지역에 소재한 업체가 하도급을 받음으로써 기술을 요하지 않는 일용근로자까지 자사 소재지 거주자를 고용하는데다 현지구입이 가능한 자재까지 기존 거래선을 이용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이때문에 각종 세수입 등이 역외로 유출돼 지역경제 활성화를 저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대해 일반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서울 1군업체와 공동도급인 대형공사의 경우는 도내업체에 줄 수가 없으며 업체별로 성실시공을 위해 신뢰감이 있는 업체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표명구기자 mgpyo@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