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의 강제구인에 맞서온 한나라당 정형근 의원이 17일 자진출두한 것은 총선을 앞둔 당내 분위기 및 여론동향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한 불가피한 선택으로 보인다.
정 의원이 출두결심을 밝히는 회견에서 18일로 예정된 이회창 총재의 관훈토론회 및 ‘여권의 지역감정 조장 비난 가능성’을 언급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 이해되고 있다.
즉, 자신의 출두거부를 둘러싼 당 지도부의 곤혹스러운 입장 및 곱지않은 여론의 흐름으로 볼 때 더이상 출두를 늦추는 것이 향후 사태 전개에 결코 유리하지 않다는 판단인 셈이다.
한나라당과 정 의원은 총선을 눈앞에 둔 시점에서 나온 검찰의 정 의원 강제구인 시도에 대해 여론이 양비론적 시각에서 접근하면서도 정 의원의 행동에 대해서는 다수가 부정적 견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데 대해 크게 부담스러워했다는 후문이다.
특히 당내에서는 18일 예정된 부산 규탄집회가 ‘지역감정 조장’ 논란에 휩싸일 경우 이번 총선 승패를 사실상 가름하게될 서울 등 수도권 선거에서 적지않은 역풍이 있게될 것으로 보고 정 의원의 자진출두를 통한 분위기 반전에 나서야 한다는 내부의견이 적지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정 의원이 이날 출두결심을 밝히기에 앞서 이 총재와 협의를 거친 것이나 ‘1회출두 및 검찰 조사에서의 묵비권 행사’ 방침을 분명히 한 것도 이번 사건과 관련한 한나라당의 ‘법집행 저항’이라는 부담을 털어버리고 ‘야당탄압’쪽으로 분위기를 몰아가려는 전략으로 해석되고 있다.
어쨌든 정 의원의 검찰 출두로 ‘정형근 파문’은 4·13 총선전까지는 일단락될 공산이 커졌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여권과 검찰은 ‘정치적 배경’에 관한 의혹이 부담스럽고, 한나라당으로서도 여론 문제가 공세적 쟁점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