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무선 인터넷 서비스 WAP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 서비스의 기반이 되는 것은 바로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AP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이동통신 가입자들이 원하는 여러가지 인터넷 정보를 지원해 주는 일련의 프로토콜을 통칭한다.

즉 이를 이용하면 핸드폰을 통해 인터넷에서 원하는 정보를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확인할 수 있고 간단한 이미지도 지원하면서 단말기의 배터리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동통신 가입자들은 WAP 마이크로 브라우저가 탑재된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많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더 안정적이며 빠르고 철저한 보안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으며 특히 가장 큰 매력은 실시간 정보 검색과 갱신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WAP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WAP은 무선 환경에서 원활한 인터넷 정보 검색을 지원해 주는 프로토콜의 하나로 2년전에 등장,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정보통신 업계의 전폭적인 지원에 힘입어 무선통신 환경의 표준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이는 무선 통신 단말장치를 이용한 정보검색 욕구에 목말라 있던 사용자들의 요구를 해결해 주었기 때문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데스크탑이나 노트북PC를 통해 웹에 올려진 정보를 이용하려면 IP, HTTP 등 여러가지 프로토콜이나 스크립트 언어, 컨텐트 형식이 필요하지만 무선통신 단말기에 그대로 적용하기엔 많은 한계가 있다.

무선통신 단말기는 일반 데스크탑과 달리 저용량의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사용하고 있고 사용하는 배터리의 용량에도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 단말기에 맞는 다른 프로토콜이나 지원이 필요하다.

WAP은 이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 탄생한 프로토콜이다.

▲WAP 프로그래밍 모델

현재 World Wide Web(Web)의 프로그래밍 모델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URL 요청을 웹 서버쪽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웹 서버에서는 이 URL을 파악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가 어떤 것인지 인식하고 그 정보를 검색해 낸다.

서버는 검색한 결과를 사용자의 브라우저에 전송하게 된다.

물론 웹 서버 측에서는 정보가공에 필요한 여러가지 스크립트 등을 이용한다.

그러면 WAP 프로그래밍 모델과 Web 프로그래밍 모델이 어떻게 다른가.

WAP 프로그래밍 모델은 클라이언트와 실제 웹 서버사이에 게이트웨이가 한 단계 더 들어가 웹에서 검색한 정보를 가공하는 역할을 한다.

게이트웨이에서는 사용자들의 단말기를 통해 원하는 정보를 쉽게 볼 수 있도록 웹의 필요없는 정보를 삭제하고 무시해서 실제 전송할 정보를 추려낸다.

또 웹에서 이용한 여러가지 스크립트부분을 가공하고 알기 쉽도록 변환한다.

▲WML과 마이크로 브라우저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WML(Wireless Markup Language).

현재 인터넷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HTML을 모체로 두고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 적절하도록 만든 언어로 손쉽게 익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WML은 무선 단말기에서 이용하기 편하도록 고안되었는데 일반적인 키보드나 마우스는 지원하지 않으며 무선 단말기의 작은 화면을 단위로 작업처리를 진행한다.

이 작은 화면의 작업처리 단위를 카드(card)라고 부른다.

WML은 무선 단말기기에 사용되기 적합하며 이 무선 단말기에서는 강력하며 기능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현해 줄 수 있다.

사용자들은 WML의 기본이 되는 카드를 마우스 대신 스크롤하여 원하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WML을 지원하는 단말기에 탑재된 브라우저는 일반 데스크탑 컴퓨터의 웹 브라우저 기능의 대부분을 수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브라우저는 무선 단말기의 화면보다 큰 화면을 지원한다. 일반적인 데스크탑 컴퓨터의 모니터까지 지원할 수 있으며 화면 확대에 따른 자동 정렬기능도 제공한다.

▲WAP의 미래

WAP 포럼이 설립되어 무선 네트워크 표준을 정의하기 시작한지 2년 남짓.

WAP포럼은 지속적으로 무선 네트워크 환경의 표준과 데이터 전송 표준을 정의하고 있으며 앞으로 나올 화상통신의 기반도 넘보고 있다.

웹은 얼마 안 있어 무선 네트워크의 표준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 확실시되며 ITM2000서비스가 시작된다 하더라도 이 역시 무선 네트워크 환경이기 때문에 WAP의 무선 네트워크 프로토콜 개념을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용어설명

-게이트웨이(gateway)

네트워크 단계의 인터넷 보안시스템 가운데 가장 널리 쓰이는 방법으로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불에 비유해 그것을 막는 벽으로 표현한 것.

물리적으로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절단시키는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응용 프로그램을 고칠 필요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고 네트워크에 흘러다니는 모든 패킷을 검사하므로 해킹과 같은 외부침입을 근본적으로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URL

인터넷에 존재하는 수많은 정보 자원의 위치를 정확하고 편리하게 표현하기 위한 방법. 인터넷의 크기가 점점 커지면서 특정정보가 인터넷상의 어디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효율적인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는데 그중 URL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강경묵기자 kmkang@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