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4·13 총선을 앞두고 각 정당이 인선중인 비례대표, 소위 전국구의원 후보자 명단을 보면 비례대표제 무용론이 또 다시 불끈 솟구친다. 지역구 의원에 대한 전문성 보완이나 유권자 사표 방지 등 본래의 취지는 이미 강 건너 갔고 이익·관변단체장들을 위한 자리 나눠주기용에서부터 낙천자 반발 무마용이 되었다.
각당 총재의 충성파에 대한 선심용과 정치자금 모금용에 이르기까지 원칙이나 기준이 애매모호하다.
거의 확정적인 전국구 후보들의 행적을 보면 그동안 정치적 중립성을 의심받아왔던 사람들도 많다. 이익·관변단체장들을 끌어 들여 그들 단체의 표를 모아보려는 속셈이 훤히 보인다.
‘재정기여도’라는 명분으로 전국구를 전국구(錢國區)로 전락시킬 조짐 또한 여기 저기서 드러난다. 열악한 재정상태를 메우기 위해서라지만 그래도 명색이 국회의원인데 벼락부자 아니면 돈 힘 믿고 세상을 무서워할 줄 모르는 사람들에게 금배지를 함부로 내주려한다면 크게 잘못될 어리석은 행동이다.
이렇게 걱정스럽고 어수선한 비례대표 후보선정 시한이 며칠 남지 않았는데 자민련 명예총재가 얼마 전 비례대표 순번 7번을 자청했다고 한다. 자민련은 아마 5번까지를 당선 안정권으로 생각하는 모양인데 잘못되면 명예총재가 국회에 진출하지 못할 불상사가 생기는 모험이다. 5번안에 들어갈 사람은 넘치는데 5번 이상은 아무도 받으려하지 않는다는 것이 7번을 자청한 이유라고 한다.
워낙 정치고수라서 진심인지 선거전략인지는 며칠 더 두고 보면 알겠지만 만일 다른 당 총재나 대표도 안정권 밖의 비례대표 순번을 자청한다면 욕은 조금 덜 먹을 것 같다
/청하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