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5년 6·27 지방선거 이후 4차례의 전국 선거를 거치는 동안 ‘돈 안드는 공명선거’의 핵심제도 가운데 하나로 칭송받던 선거자원봉사제가 정착되기도 전에 역사의 유물로 사라지려나 보다.
무보수·자발적 참여의 자원봉사자는 드물고 돈맥을 따라 움직이는 ‘해바라기성 봉사자’들이 판을 치고 있기 때문이다.
자발적 봉사정신에 입각한 ‘무료’ 자원봉사제가 미국·영국 등에서 오랜 각고의 노력끝에 정착한 것과는 달리 우리는 출마 후보자들이 자원봉사자에게 음성적으로 대가를 지불해야만 겨우 사람을 구할 수 있는 실정이다. 순수한 자발성에 의존하는 시민단체 봉사자도 돈을 따라 움직인다는 분위기라니 더욱 어둡다.
이번 4·13 총선에서는 유달리 선거브로커들이 극성을 부린다고 한다. 심지어 선거가 끝난 뒤 돈을 주기로 약속한 ‘고액 외상봉사자’도 있어 자원봉사자를 쓰기가 겁난다고 후보자들은 고백하고 있다.
무료로 일해 주는 순수한 자원봉사자 급감현상은 공명선거를 위한 주감시자 역할을 담당하는 시민단체들의 활동에 더욱 큰 타격을 준다.
낙선운동으로 주목받고 있는 총선연대에 한때 100여명까지 몰렸던 자원봉사자가 지금은 30명 정도만 남아 있는 딱한 실정이다. 이같은 현상은 날로 더해 가는 극심한 정치혐오주의 때문인 것 같다.
재산세도, 소득세도 한푼 내지 않았거나 병역을 기피한 자격미달 후보들은 신경쓸 일도 없지만 공명선거를 위해 노력하는 시민단체에서 무보수 자원봉사자들이 떠나가는 현실은 돈이 좋기는 하지만 서글프다.
수고비를 받는 ‘봉사자’, 그것도 ‘자원봉사자’라니 기형어라고 하지만 말이 되지 않는다.
/淸河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