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급한 산불 방지책

최근들어 연일 산불로 비상이 걸리고 있다. 지난 7일 발생한 고성·강릉지역의 산불은 주민 1명의 사망과 더불어 400여명의 이재민이 발생하였으며, 가옥 200여채를 태웠다. 또한 수천㏊의 임야를 태으므로 인하여 막대한 산림자원의 피해를 주었다. 이번 화재는 바로 4년전에 화재가 발생하여 그동안 주민들과 관련 행정기관에서 이제 겨우 식목을 하여 막 자라고 있던 수백만 그루의 어린 나무들을 또 무참하게 태워버렸다.

고성 화재 뿐만 아니다. 경기지역에도 많은 지역에서 산불이 발생하여 비록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막대한 산림자원의 손해를 가져왔다. 지난 5일 식목일에 심은 물량 이상의 피해를 가져왔기 때문에 더욱 안타까움을 느끼게 된다. 특히 예년에 비하여 산불이 더욱 많이 발생하여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산불이 발생한 지역이 복구되려면 최소한 40∼50년이 걸리는데 이는 참으로 큰 손실이 아닐 수 없다.

산불의 원인은 다양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담뱃불, 또는 쓰레기 소각과 같은 사소한 부주의에서 산불이 발생하고 있다. 때문에 과거에는 대부분의 등산로 등을 폐쇄하는 강력한 예방책을 취하였으나, 현재는 지자체의 요구로 대부분의 등산로가 개방되어 산불 발생의 위험성이 높다. 이렇게 지자체에서 등산로 개방에는 열을 올리고 있으면서도, 그러나 산불예방에는 과거보다 소홀한 것이 사실이다. 특히 예산을 이유로 산불감시요원이나 또는 장비 구입 등에 인색하다. 따라서 지자체가 더욱 많은 관심을 갖고 산불 예방책 수립에 최선을 다해야 될 것이다.

산불 방지를 위한 주민들의 의식 제고도 중요하다. 주민 모두가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면 산불은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산불 방지 및 진화 장비 구입에 있어 정부 차원의 강력한 대책이 요구된다. 지자체의 한정된 예산으로는 효과적인 산불 방지나 진화를 할 수 없다. 특히 산불 진화를 위한 헬기와 같은 고가 장비의 구입은 정부차원에서 이루어져야 된다. 인접 지자체간의 효과적인 산불 방지와 진화를 위한 네트워크의 형성도 중앙부서가 주도해야 된다. 어느 때보다도 산불방지를 위한 강력한 대책이 지자체는 물론 중앙정부에서 마련되어 더 이상의 피해가 없기를 기대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