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동란이후 50년만에 처음으로 남·북한 정상회담 추진 소식이 전해지면서 그동안 남·북 교류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던 인천지역 경제에 대변혁이 예고되고 있다.
11일 지역 경제계에 따르면 지난 98년 4월 인천∼북한 남포항을 연결하는 항로가 개설된 이후 민간 차원에서 이뤄지던 인천항을 통한 대북 교류가 이번 발표로 올해 하반기부터 정부 차원으로 승격될 것으로 보여 IMF한파 이후 대우 사태 등으로 침체된 지역경제 활성화에 커다란 역할을 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에따라 지역 경제계는 해운·수산 및 제조업체 등 관련 분야별로 올 하반기부터 본격화 될 인천항을 통한 대북 특수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 수립 등에 나서고 있다.
지난 한햇동안 5만8천865t의 대북 물자를 처리해온 지역 해운·항만업계는 이번 정부 발표로 인천항이 대북 교류 중심지로 떠오르면서 상당한 기대감에 부풀어 있다.
이들 업계는 특히 정부가 남·북 정상회담 이후 교역 확대에 대비, 기존 인천∼남포 항로 이외에 인천∼해주 항로 개설을 적극 검토하고 있는데다 민간 기업차원의 남·북 교류 대표 주자격인 현대그룹도 북한 황해도에 대규모 서해공단 조성을 추진하고 있어 이들 사업이 본격화 할 경우 향후 인천항을 통한 남·북한 해상물동량은 현재보다 엄청나게 늘 것으로 보고있다.
최근 한·일, 한·중 어업협정에 따른 어장 축소로 존폐 위기에 놓인 안강망·저인망 등 지역 수산업계도 이번 남·북 정상회담으로 남북 공동조업 등을 통한 지역 수산업 발전을 기대하고 있으며 지난달 23일 북한측의 일방적인‘서해 5도서 통항질서’발표로 불안한 조업을 하던 백령·연평 등 서해 5도서 어민들도 정부의 이번 발표에 커다란 기대를 걸고
있다.
또 인천지역 중·소 제조업체들도 남·북 정상회담이 가시화 되면 저임금을 바탕으로 한 각종 임·가공 사업 등에 나설 채비를 하는 등 지역 경제계가 오는 6월에 있을 남·북 정상회담의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인치동기자 cdin@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