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김포, 고양 등 수도권지역에서 아파트 건축제한방침과 건설업체들의 아파트 건설 부지 고갈 등으로 당분간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조성되기 어렵게 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주택공급차질로 인한 매매 및 전세가 인상 등 각종 부작용까지 우려되고 있다.
23일 주택건설업체에 따르면 용인, 김포 등 수도권지역에서의 무분별한 개발을 방지하기위해 지방자치단체들이 아파트건축을 제한하는 등 건축허가요건을 강화하는데다 건설교통부도 준농림지 규제를 확대하기로 방침을 정함에 따라 수도권지역에서의 주택공급차질이 예상된다.
이같은 현상은 올해초부터 가시화돼 용인을 비롯 김포, 고양 등지에서 아파트부지매입을 위한 건설업체의 토지신규매입이 전면중단된데다 기존 지주와의 해약이 잇따르고 있다.
이로인해 대형건설업체의 주택공급이 크게 줄어들고 있으며 최근 분양되고 있는 대부분 아파트의 경우 부지를 갖고 있던 중소업체들이 시행자가 되고 대형건설업체들은 시공 및 분양 대행을 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현대건설의 경우 지난해 수도권지역에서 단한건의 아파트부지를 확보하지 못했으며 자체사업이 가능한 토지는 3∼4곳에 불과한 상태다.
대우건설도 수원시 권선지구, 시흥 연성, 부천상동 지구의 택지를 매입했을 뿐 지주와의 개별협상을 벌여야 하는 부지는 한곳도 매입하지 못했다.
대림산업 역시 IMF이후 사업부지를 확보치 못했으며 LG건설, 삼성물산, 두산 등 대부분의 건설업체 등의 사정도 마찬가지다.
이에 따라 수도권지역에서 중·대형건설업체가 공급하는 아파트 물량이 중장기적으로 크게 줄어들면서 주택공급 차질로 인한 주택난 등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일선 지자체의 아파트 건축제한 방침과 아파트 부지를 확보하지 못해 길게는 3년까지 분양이 위축될 것”이라며 “당분간 자체사업은 지양하고 재건축, 재개발 수주 등 시공에 치중하면서 대책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박승돈기자 sdpark@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