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5·31 전당대회’를 앞두고 386세대인 미래를 위한 청년연대(약칭 미래연대) 소속 도내 지구당 원내·외 위원장들의 ‘이상한 행보’가 주목을 끌고 있다.
이들은 4·13 총선이 끝난 이후 당내 행사는 물론 개인적 행사 등에 잇따라 참석하며 당내 민주화, 1인 보스 체제 탈피 등을 외치며 정치개혁을 최대 화두로 꺼내 한나라당은 물론 정치권 전체에 상당한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정치개혁 실현을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 민주당내의 젊은 정치세대들과의 정책연대, 5·18 20주년을 맞아 광주 망월동 공동참배 등을 추진과 크로스보팅, 국회의장의 자유경선, 상향식 공천 등 정치개혁을 위한 모든 방안들을 쏟아내고 있다.
당 내부적으로도 ‘5·31 전당대회’를 앞두고 공동 정견발표 요구에 출마 예정자들과의 사적모임 거부 등 이른바 줄서기 타파, 계보정치 타파 등을 외쳐대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정작 5·31 전당대회와 관련, 도내 지구당 위원장들과 최근 4차례 이상의 공식·비공식 모임을 갖고 ‘경기도 몫’의 당 3역 중 한 자리 요구와 부총재 출마자로 거명되는 의원을 지지하기로 내부적으로 결정했다.
그같은 근거로 선출직 대의원 874명(지구당별 원내 23명, 원외 20명)과 당연직 등 1천여명의 대의원들 표만 ‘모아진다면’ 7명의 선출직 부총재 중 1명 확보는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 6월 초의 총무경선에서도 도내 출신 의원을 밀어주기로 의견접근을 이루었다.
이들은 지구당 대의원들에게 이같은 ‘지구당 위원장’들의 뜻을 직·간접적으로 전달했거나 전달할 계획이다.
결국 중앙 정치권을 향해서는 줄서기, 계보 정치 타파 등 정치개혁을 외치며 지구당원들에게는 줄서기, 계보화를 강요하는 묘한 ‘이중적 상황’에 처한 꼴이다.
/이재규기자 jkle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