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형문화재 다큐멘터리 비디오 제작

경기문화재단이 전통의 얼과 멋이 살아숨쉬는 경기도지정 무형문화재를 다큐멘터리로 제작, 배포하고 있다.

‘경기문화 재발견’이라는 이름으로 출간한 이 비디오는 무형문화재를 영상으로 기록 보관하고, 문화재를 널리 알려 관광 활성화에 기여하는 한편 도민과 자라나는 학생들이 경기도 문화유산에 많은 관심을 갖도록 하기위해 제작한 것으로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문화재단은 도지정 무형문화재를 다큐멘터리로 제작하는 사업을 연차적으로 추진중인데 이번에 1차로 8편을 제작 완료했다.

제작 비디오는 도무형문화재 21호인 ‘안성 남사당 풍물놀이’를 비롯해 ‘양주 상여 회다지소리’(27호), ‘화성 재인청류 승무와 살풀이춤’(8호), ‘선비문화의 꽃, 벼루’(26호), ‘천년의 꿈, 한지(韓紙)’(16호), ‘다시 살아나는 색, 옻칠’(17호), ‘우리 배(韓船) 이야기’(11호), ‘우리술 부의주(浮蟻酒)’(2호) 등 8편이다.

각편 50분 내외로 제작된 이 비디오는 각 문화재의 유래 및 내용 해설, 학문적 고증, 작품 미학, 연습 및 재연장면, 전승의 현대적 의미 등을 종합적으로 다뤄 한편의 비디오로 해당 문화재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안성 남사당 풍물놀이’는 1900년대 안성 청룡사를 중심으로 한 사당패 바우덕이의 전설과 구전민요가 전해져오는 정통성을 입증하고 칠무등과 오무등의 새미놀이와 버나돌리기를 재현해 낸점을 부각시켰다.

‘양주 상여 회다지 소리’는 전통 장례의식에서 부르는 대표적인 만가로 우리 민족의 삶과 죽음에 대한 철학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문화유산이며, ‘화성 재인청류 승무와 살풀이춤’은 우리 민속춤의 산실로 평가받는 화성 재인청에서 전승되고 있는 승무와 살풀이를 정경파씨의 예술혼을 통해 조명했다.

‘선비문화의 꽃, 벼루’에서는 3대째 가업으로 벼루를 만들고있는 신근식씨의 벼루사랑과 벼루의 특징, 전통공예사적 의미 등과 벼루를 통해 선비문화가 어떻게 꽃피웠는지를 고찰했으며, ‘천년의 꿈, 한지’에서는 천년을 내려온 우리 고유의 한지 제조비법을 지장(紙匠) 장용훈씨를 통해 살펴봤다.

경기문화재단은 2차로 ‘구리 갈매동 도당굿’ ‘김포 통진두레놀이’ ‘입사장’ ‘단청장’ ‘경기소리’등 5편의 비디오를 올해 말까지 제작할 계획이다. 문의 (0331)258-5105 /이연섭기자 yslee@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