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최초의 경기도와 서울시의 환경시설 ‘빅딜’이 시행 하루만에 주민들의 반발로 발목이 잡혔다.
1일 경기도와 광명시에 따르면 광명시 쓰레기소각장에서 구로구 쓰레기를 처리하는 환경빅딜을 1일부터 시행키로 했으나 광명시 주민들이 주민협의없이 자치단체끼리 결정한 사항이라며 구로쓰레기 수탁처리를 저지하기 위해 지난달 30일 경찰에 집회신고를 했다.
광명시는 이날 오후 1시부터 구로구 음식물쓰레기 50t가량이 반입될 예정이었으나 주민들과의 충돌을 우려, 하루 연기하고 오는 5일부터 생활쓰레기와 음식물쓰레기를 본격적으로 반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와함께 광명시와 도는 환경시설 빅딜은 비용측면에서 자치단체간 서로의 이익이 된다며 주민대책위원회 관계자들을 상대로 설득에 나서는 등 환경시설 빅딜 시행 첫날부터 난항을 겪었다.
주민대책위는 구로구청 관계자등이 참석한 대책회의에서 구로구 쓰레기 반입으로 소각 쓰레기량이 늘어 주민들의 피해가 심각해 진다며 ▲구로구 쓰레기량의 반입에 주민 감시단 참여 ▲소각열 공급시 보일러 가동용 연료지급 ▲각 가정에 소각열 공급 등을 요구했다.
이에대해 광명시는 마을회관까지 열공급은 10일 정도 운영하는 범위내에서 지원을 약속했고 각 가정의 보일러실 열공급은 배관망 구축까지는 사실상 어렵다는 입장을 내세워 환경빅딜 시행 난항이 장기화 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권순경·홍성수기자 sshong@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