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초마다 1명씩, 1년 동안 400만명이 죽는다” “2030년 매년 1천만명이 사망할 것이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세계 금연의 날’인 5월 31일 밝힌 섬뜩한 내용들이다.
금연의 필요성은 주로 건강측면에서 강조된다. 폐암과 흡연과의 관련성 여부가 국내 법원에서도 심리중이라지만, 흡연이 건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게 정설이다. 담배에 20여종의 발암물질과 4천여종의 독성물질이 포함돼 있다는 실험결과도 있지만 담배가 호흡기 질환과 심근경색, 뇌졸중 등을 불러 일으킨다는 것은 경험적으로 입증된 사실이다. 특히 중년층의 경우 만성피로에다 정력감퇴를 불러일으키며 여성에게는 피부미용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내용의 보고서도 계속 발표되고 있다. 그런데도 흡연인구는 줄어 들지 않는다.
“내가 겪은 일 중에서 가장 쉬운 일이 금연이었다. 나는 담배를 천 번도 넘게 끊었다”거나 “담배를 끊은 지독한 사람과는 상종하지 말라”는 익살스러운 애연가도 있다. 금연이 그만큼 어렵다는 얘기다.
금연운동을 위해 미국은 TV와 라디오에서 담배 광고를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유럽연합은 2006년까지 역내 모든 국가에서 담배광고를 전면 금지하는 법안을 최근 통과시켰다. 태국 정부는 올해 흡연장면이 나오는 영화나 TV프로그램 방영을 금지시키는 법안을 상정했다.
우리나라도 청소년 TV 프로그램에서 흡연 장면을 방영하지 못하고 일정 규모 이상의 식당·유흥업소와 PC방, 만화방, 당구장, 오락실 등 청소년 이용시설에 흡연구역 설치 등을 골자로 한 건강증진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마련중에 있다.
우리나라 남자의 흡연율은 66.3%로 세계 최고 수준이고 여자는 30%라고 한다. 고교 연령층인 16∼18세가 24.1%, 중학교 연령층인 15세 이하도 8.3%나 된다. 담배맛도 모르고 피워대는 미성년자는 그렇다 치고 진짜 애연가들은 개정중인 건강증진법을 어떻게 생각할는지 궁금하다.
/청하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