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 회담으로 남북 체육교류가 급물살을 타며 구체화될 것으로 보인다.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경제, 사회, 문화 등 다방면에 걸친 교류 협력에 합의한 만큼 정치적 부담이 거의 없는 스포츠는 어느 분야보다 더 활발한 접촉이 이뤄질 것이 분명하다.
특히 김 대통령을 수행한 김운용 대한체육회장 겸 IOC 집행위원과 정몽준 대한축구협회장 겸 FIFA 부회장이 북측 실무자들과 만나 세부 사안에 대해 상당한 의견 접근을 한 것으로 전해져 기대를 높여 주고 있다.
탁구 단일팀 구성과 통일 축구 및 통일 농구 대회 등 그동안의 교류 경험을 바탕으로 세계 스포츠 무대에서 한민족의 우수성을 과시하면서 선의의 경쟁을 펼치며 새천년 통일의 초석을 다질 수 있게 된 것이다.
우선 불과 3개월여 앞으로 다가온 시드니올림픽에서 남북 선수의 동시 입장으로 본격적인 남북 체육교류의 서막을 전세계에 알리게 된다.
56년 역시 같은 호주 멜버른 올릭픽에서 당시 동·서독으로 갈라져 있던 독일이 나란히 입장한 뒤 34년만에 통일을 이룬 전례를 볼때 올림픽 동시 입장은 단순한 체육 교류를 넘어서는 큰 의미를 지닌다.
그동안 지지부진했던 2002년 월드컵축구 남북 분산 개최와 단일팀 출전도 현실화돼 세계 스포츠 2대 빅 이벤트에서 민족 화합의지를 과시할 수 있게 된다.
IOC와 FIFA 내부에서도 유일한 분단국의 교류를 적극 지원하자는 분위기가 형성돼 이변이 없는 한 올림픽과 월드컵에서 남북이 확실하게 손을 잡을 수 있게 됐다.
또 90년 통일축구로 부활했던 경평 축구도 10년만에 재개되고 현대 아산의 주도로 열리던 통일농구대회도 남북 국가대표간 정기전으로 승격될 수 있게 됐다.
이 밖에 올 12월 서울에서 열리는 코리아컵유도대회의 북한 참가, 2001년 오사카세계탁구선수권대회 단일팀, 씨름대회 등 물밑 교섭중인 수 많은 교 류 방안들이 현실로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교류 과정에서 만나는 남북 체육 인사들과 관계자들이 다양한 행사와 이벤트를 만들 것으로 보여 남북 체육 교류는 더 이상 새로운 뉴스가 되지 않게 됐다.
정치적 문제로 종전까지 폐쇄적이었던 북한 체육관계자들도 성공적으로 끝난 남북정상 회담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자세로 나올 것이 분명해 남북 체육교류는 때아닌 봇물을 이룰 것으로 기대된다./연합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