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권도 공원을 유치하기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경쟁이 치열해지자 공원 조성사업을 추진중인 문화관광부의 행보가 신중해지고 있다.
문화부는 이달 말까지 태권도 공원 건립지를 결정하려던 당초 계획을 변경, 한달가량 연기할 방침이다. 전국의 27개 시·군이 뜨거운 유치경쟁을 벌여 성급하게 결정할 경우 오해와 비난에 휘말릴 수 있고 특히 ‘정치적 결정’이라는 도마위에 오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문화부는 이에따라 5-6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27개 시·군의 후보지 설명을 들은후 1-2차례의 공청회나 세미나를 개최, 보다 객관적이고 광범위한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후보지 심사위원회에도 당초 문화부 체육고위관계자를 위원장으로 문화부 관리 2-3명을 포함시킬 계획었으나 공무원을 배제하고 각계 대표들로 구성하고 사전 로비를 피하기 위해 건립지 결정 직전 전격적으로 구성한다는 복안이다.
지자체들은 100만평이상의 부지만 제공하면 4천억-5천억원으로 추산되는 세계 유일의 태권도 공원을 유치할 수 있는 매력때문에 너나없이 유치경쟁 대열에 뛰어들었다.
27개 후보지 가운데 표면적으로 가장 적극적인 곳은 인천 강화군, 강원 춘천시, 제주 남제주군, 충북 진천 등이지만 다른 곳들도 각종 경로를 통해 치열한 로비를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자체들이 태권도 공원 유치에 열을 올리는 것은 시드니올림픽을 계기로 태권도의 명성이 국제적으로 높아져 세계 유일의 태권도 공원이 2007년 완공되면 외국인방문객이 연간 150만에 달해 엄청난 관광 수입이 기대되기 때문이다.
당초 국비와 민자를 합쳐 2천억으로 추정됐던 공사비도 4천억-5천억원에 달해 지역 고용은 물론 각종 부대 이익이 엄청날 것이란 점도 유치경쟁에 불을 붙이고 있다.
정부는 태권도 공원에 태권도 전당(10만평), 수련단지(30만평) 이외에 호국청소년단지(20만평), 관광단지(20만펑), 영상단지(10만평), 한방·기공단지(10만평)를 세워 태권도의 정신적 메카이외에 관광명소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연합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