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의 집권 2기를 함께 할 개각을 앞두고 장차 부총리로 승격될 재경, 교육부 장관에 누가 임명될 것인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김 대통령은 특히 집권 2기에 재벌·기업 개혁과 금융개혁을 마무리하고 지식 정보화 사회의 큰 틀을 마련한다는 생각에서 이들 두 예비 부총리의 인선에 막바지 고심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재경부장관=후임으로 유력하게 거론되는 인물은 진념 기획예산처장관과 김종인 전 청와대 경제수석이다.
여기에 최근들어 이기호 경제수석과 당쪽에서 김원길 의원이 부상하고 있는 형국이다.
진 장관은 정통경제관료 출신으로 현 내각에서 경제팀의 ‘맏형’ 역할을 하고 있으며 기획예산위원장 시절부터 줄곧 자리를 지켜온 ‘DJ 경제팀’의 핵심 일원이다.
따라서 기존 경제정책의 흐름을 계속 지켜가야 한다는 정책의 연속성 측면에서 진 장관은 높은 점수를 받고 있으며, 경제부처내에서도 그의 기용을 희망하고 있는 등 팀워크 부재 지적을 타개할 대안으로 꼽힌다.
이기호 경제수석 역시 ‘안정속의 개혁’이라는 맥락속에서 김 대통령의 신임 등을 고려해 후보군에 속해 있다. 그러나 현 경제팀의 공동책임론이라는 범주에 묶여있고 팀워크 등에 다소 문제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반면 김 전 수석은 자타가 공인하는 ‘재벌·금융 개혁주의자’다. 김 대통령이 인선기준으로 개혁성을 가장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주요 경제현안에 대한 강도높은 개혁을 추진할 경우 그의 기용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김원길 의원은 당쪽에서 강력히 밀고 있고, 본인도 “현 정부의 경제정책 초기 입안과정을 맡았던 만큼 마무리도 하고 싶다”는 희망을 피력하고 있다. 그는 재경부장관이 안될 경우, 산자 등 다른 경제부처 장관 기용 가능성도 있다.
◇교육부장관=김 대통령이 지식정보화 사회에 대비한 인적자원 육성에 거는 기대가 남달라 교육부를 인력자원개발부로 명칭을 변경하고 부총리로 격상시켰다는 점에서 후임이 누가 될지에 관심이 쏠린다.
그러나 재경부 장관 후임과는 달리 교육부 장관 후임은 뚜렷하게 부상한 인물이 없으며 여러 사람이 각축을 벌이는 양상이다.
우선 교육계 출신 인사를 임명할 지가 관건이다. 이와관련, 청와대 관계자는 “교수 출신이 교육부 장관을 맡을 경우 교육관련 이해집단을 설득하는데 문제가 있으며 행동보다 말이 앞선다는 지적이 있다”며 교수출신 배제 원칙이 적용될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 경우 경륜있는 정치인과 추진력있는 행정가가 발탁될 가능성이 높다. 교육계의 화합을 이뤄내고 대통령의 지식정보화 추진 작업에 온몸을 바칠 수 있는 인물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다.
이로인해 거론되는 인물군이 민주당 장을병, 노무현 전 의원과 최인기 행자부 장관 등이다.
특히 노 전 의원이 행자부 장관을 희망하고 있어 노 전 의원과 최 장관은 교통정리가 필요한 상황인 반면에 초대 부총리는 교육전문가가 맡아야 한다는 견해도 만만치 않다.
때문에 송자 명지대 총장, 장상 이대 총장 등이 거명되고 있다.
송 총장은 과거 연세대 총장 시절 탁월한 경영 마인드를 인정받았고, 당쪽에서도 그의 능력을 인정하는 사람들이 많다. 지난 1·13 개각때도 유력한 장관 후보로 거론됐으나 부총리로 임명하기 위해 김 대통령이 남겨놓았다는 설도 있다.
장 총장은 지식정보화 시대 여성의 역할에 관한 이론적 기반을 확고히 갖춘 인물이라는 점에서 마지막까지 고려 대상에 포함돼 있다.
/유제원기자 jwyoo@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