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관악구 봉천동에 있는 ‘낙성대(落星垈)’는 고려의 명장 강감찬(姜邯贊) 장군의 출생지로 전해져 왔다. 하늘에서 큰 별이 떨어진 날 강감찬(948∼1031년) 장군이 태어났다 하여 낙성대라고 이름 지었는데 사리탑식(舍利塔式) 석탑이 남아 있다.
강감찬 장군은 고려 현종(顯宗) 9년(1018년)에 거란의 장수 소배압이 고려를 침공하였을 때 서북면행영도통사(西北面行營都統使)로 상원수(上元帥)가 되어 거란군을 격파하였다. 특히 구주에서의 대첩은 대외항전사상 중요한 전투의 하나로 기록돼 있다. 구주대첩에서 거란군은 전멸에 가까운 손실을 입어 고려 침입군 10여만명 중 생존자는 수천명에 불과하였다고 한다.
이 강감찬 장군의 동상이 낙성대에 있지 않고 왜 수원 팔달산에 건립됐느냐고 그동안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 하였다. 강감찬 장군의 기마동상은 1971년 6월29일 애국조상건립위원회(위원장: 신범식 문화공보부 장관)와 서울신문사가 공동주관하여 기공했는데 1971년 10월 준공됐다. 제막식은 1972년 5월4일 김종필 국무총리를 비롯한 정부 요인과 많은 수원시민들이 참석한 가운데 거행됐다.
남창동 산 1번지 대지 500여평에 조각가 김영준씨의 조각으로 세워진 이 동상은 원상(原像) 높이 4.5m, 좌대높이 5.7m, 전체높이 10.2m, 청동주물상 5t, 마상의 길이 5m의 거대한 기마동상으로 건립기금은 삼양식품공업주식회사 전중윤 사장의 헌납금 1천600만원으로 건립됐다. 그런데 30년동안 팔달산을 지켜왔던 강감찬 장군 동상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20여억원을 들여 정조대왕 동상을 세운다고 한다.
강감찬 장군 동상은 수원시 화서동 숙지산 공원과 군사훈련 장소였던 동장대 (연무대), 장안공원, 만석공원으로의 이전이 검토되고 있다는데 지금 팔달산에 가면 호국의 용장 강감찬 장군이 적진을 질타하는 듯한 호령소리가 들려온다.
/淸河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