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부 산하기관인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은 장애인 직업적응훈련과 함께 고용업체와 장애인근로자에게 고용보조금, 고용환경개선, 직업안정자금등 파격적인 자금지원을 한다. 장애인 창업자금도 융자하고 있다.
고용촉진공단 수원사무소의 경우, 올 상반기동안 124명을 취업시키고 393명의 취업을 확정시킨 가운데 4억6천여만원을 지원하고 32억6천여만원 규모의 지원 및 융자가 확정된 상태다. ‘순간의 관심보다 평생의 일터’를 캐치프레이즈로 한 이같은 정부사업은 더불어 사는 복지사회를 구현하기 위해서다.
‘9월은 장애인의 달’이다. 지난 1월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의 대상을 심신장애자까지 개정 확대한 이후 새천년들어 처음 맞는 각별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사회일각의 인식은 아직도 이에 미치지 못한 것이 유감이다.
등록장애인수는 도내 13만8천33명을 비롯, 전국에 79만5천408명이나 추정수는 도내 18만여명 전국은 105만여명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에비해 300인 이상의 고용의무사업체 고용율은 등록장애인수 대비로도 선진국수준의 반에 반도 안되는 0.91%에 머문 실정이다.
복지사회 건설은 장애인의 사회참여 활성화가 없고서는 참다운 복지사회라 할수 없는 것이 선직국사회의 인식이다.
신체장애는 결코 남의 일이 아니다. 산재사고, 교통사고 등의 증가추세는 선천성 장애를 훨씬 능가해가고 있다. 선천성이든 후천성이든 장애인은 기능에 따라 사회기여 참여의 길을 보장받을 권리가 있다. 이러함에도 예컨대 각종 시설물에 장애인 편의시설조차 거의가 제대로 갖추지 못했다. 장애인 전용주차장 하나 보장해주지 못해 마구 침입하는 것이 우리 사회의 현실이다.
그러나 이런 어려운 제반환경을 극복, 산업사회와 직장사회에서 비장애인 이상으로 활약하는 장애인들이 점점 늘어가는 것은 반가운 현상이다. 장애인은 결코 보호의 대상이 아닌 자활의 대상인 것이다. 이같은 자활의 길을 사회가 가로 막아서는 안된다. 넓게 개방유도하는 사회가 돼야 한다.
‘장애인의 달’을 맞는 의의, 이달에 즈엄하여 여러 형태의 캠페인을 갖는 의미가 여기에 있다. 정보산업의 발달은 장애인 참여의 폭을 넓게 해주고 있다. 장애인의 분발, 사회의 새로운 인식속에 다같이 더불어 사는 복지사회를 만들어가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