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은 1일 “남북간에 평화태세가 확립될때까지 우리는 철통같은 안보태세를 계속 유지해 나가야 한다”면서 “국방태세를 더욱 쇄신하기 위해 ‘과학군’ ‘정보군’을 실현시켜야 하며 무엇보다도 투명한 군 인사를 실현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대통령은 이날 오전 충남 계룡대에서 열린 제52주년 ‘국군의 날’ 행사에 참석, 연설을 통해 “지금은 많은 인사가 행해지는 시기로 알고 있다”면서 “지연, 학연, 근무지 연고 등 모든 사적인 것을 배제하고 공평무사한 인사가 행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대통령은 “남북간에 대화가 시작되고 약간의 성과도 있었지만 지금은 아직도 시작에 불과하며, 국내외의 지지와 힘의 대비가 있을 때만 평화의 여신은 우리에게 미소를 지을 것”이라며 “나는 확고한 안보태세와 남북 관계개선으로 다시는 이 땅에서 전쟁이 없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
이어 김 대통령은 “한·미 연합방위체제와 한·미·일 공조야 말로 한반도 평화를 위해 불가결하다고 믿고 이를 계속 유지시켜 나가야 한다”면서 “이 땅에서 시대착오적인 냉전을 종식시키고 흔들림없는 평화체제를 실현하기 위해 남북한과 미, 중 등 4자간의 협상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대통령은 한반도 전쟁방지와 경의선 복구협력 등에 합의한 남북 국방장관 회담은 6·15 공동선언 이후 가장 획기적인 것이었다고 평가하고 “다음 회담에서는 한걸음 더 나아가 군사직통전화 가설, 군사훈련의 상호시찰, 부대이동의 사전통보 등이 합의되어 긴장완화에 보다 획기적 성과를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또 김 대통령은 “남북정상회담과 그 이후의 변화를 통해서 북한이 미국, 일본과의 관계개선을 매우 바라고 있다고 믿는다”면서 “이제 북·미간에 상당히 높은 급의지도자간에 대화가 예정돼 있는 만큼 이 회담에서 획기적인 성과가 있기를 충심으로 바란다”고 지적했다.
김 대통령은 끝으로 “우리는 군의 장비를 항상 최상의 상태로 관리하고 계속 첨단화하는 노력을 게을리해서는 안되겠다”며 “군 장병의 복지와 국군가족의 안정되고 발전성있는 생활을 보장하는데 각별히 유의해야 하겠다”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