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도자특별전 프레엑스포 행사장서 전시

북한도자특별전이 세계도자기 프레엑스포 행사장인 이천 여주 광주에서 각각 40점, 30점, 30점씩 총 100여점이 22일까지 전시된다.

국내에 처음 선보이는 북한도자기들은 북한에서 최고의 실력을 갖춘 공인작가들의 작품으로 우리 도자기와 견주어 감상하는 것도 좋을 듯하다.

이번 특별전에는 고려청자 재현의 쌍벽을 이루는 인민예술가 임사준, 우치선씨를 비롯해 공훈예술가 리현순, 신현수, 우철룡, 강명철씨 등의 작품이 전시된다.

북한은 우수한 도예가들에게 학위, 학직, 칭호를 수여하며, 도예가의 명예와 생활을 보장하는 제도를 갖춰 재능있는 예술인에게 창작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도예가들은 ‘중앙창작사’, ‘심지연창작사’, ‘철도창작사’, ‘도창작사’등 각종 창작단체에 소속되어 활동하고 있으며, 특히 ‘만수대창작사의 도자기창작단’은 북한 최고의 도자기 창작단체로 평가받고

있다.

참여작가 우치선, 임사준씨는 북한 최고의 도예가로서 가업과 비법을 전수하기 위해 사회주의 체제인 북한에서는 유일하게 가족창작실을 운영하고 있다.

우치선씨(81·인민예술가)는 이번 전시에 ‘국화상감청자’등을 전시하는데 북한내에서는 ‘고려청자의 왕’으로 불리며, 장남과 둘째딸이 가족창작실에서 가업을 잇고 있다.

‘꽃상감청자’, ‘학과 사슴 상감청자’등을 선보이는 임사준씨(71·인민예술가)는 아들 3형제가 고려청자 재현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리현순(63·공훈예술가)는 교토 시립미술대와 스웨덴 스톡홀롬 왕립공예미술대학을 유학하는 등 해외파에 속하는 것이 특이하며, 만수대창작사 도자기창작단에서 활동하며 ‘백자의 왕’으로 불릴 만큼 백자도예를 대표하는 세계적 도예가다.

또 공훈예술가이자 만수대창작사 동자기창작단장인 한경수(54)는 우치선의 제자로서 새로운 부각수법 등 새로운 도예기법을 개발, 고려청자 발전에 기여했다.

신현수(57·공훈예술가)는 평양미술대학 도자기과를 수학했으며, 단붓질법을 능숙하며 필치가 활달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색채와 형태가 우아해 색다른 도자기의 맛을 느낄 수 있다.

홍명철(작고·공훈예술가)은 공예 꽃병을 전문으로 창작활동을 했으며, 색채가 다 양하다. 문의 237-4293 /이형복기자 mercury@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