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과 프레스코의 만남 전시회 마련

최초의 회화작품은 동굴의 암벽에 그려졌으며 동굴벽에 지하수가 흐르면서 형성된 석회층에 그린 그림의 시초가 ‘프레스코’의 기원이다.

프레스코는 그 기원이 벽화이기 때문에 자유롭게 창작되지 못했다. 그러다 20세기 멕시코의 벽화운동을 통해 현대 건축 재료를 이용한 판넬 작업이 가능케 됐다. 이로 인해 벽이나 천장에 고정된 것이 아닌 동적인 작품대상으로 인식, 흙 같은 다른 오브제와 결합하는 과정을 거쳐 현대회화의 새로운 분야로 각광받고 있다.

흙은 생명의 시초이며 인간의 마지막 종착지이다. 갖가지 낟알과 열매, 그리고 푸성귀를 제공하는 흙은 인류문명의 역사와 함께 한 원초적 자연물이다.

고대 벽화의 움장함과 현대적 감각을 한껏 살린 프레스코 전문작가 김문석씨(과천시 중앙동)의 세번째 개인전이 15일부터 21일까지 서울 아트플라넷에서 열린다.

‘흙과 프레스코의 만남’을 주제로 한 이번 전시회는 프레스코라는 일반인들에게 다소 생소한 분야를 소개하는데도 의미가 있지만 현대적 표현기법을 응용해 세련된 미술작품으로 창작해낸 그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

1990년부터 프레스코와 흙을 화두로 작품활동을 한 김문석씨는 선사시대 암각화에서부터 오세아니아주의 원시 문양들, 이집트 벽화, 고구려 벽화까지의 특징을 잘 살려 표현하고 있다. 특히 작품의 핵심적인 메시지는 대부분 프레스코로 묘사하는 것이 작가의 특징.

“흙의 갈라짐은 문명의 역사를 상징한다”는 김씨는 “프레스코에 흙작업을 병행해 세련되면서도 아카데믹한 분위기를 낼 수 있다.”고 말한다.

고려대학교 미술교육과와 동교육대학원을 졸업하고 미술협회와 서울방법전, 프레스코연구회 등 회원으로 활동중인 김문석씨는 현재 과천여고 교사로 재직중이다. 문의 (02)733-6444

/이형복기자 mercury@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