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T-2000사업 어떻게 추진되나

IMT-2000사업자가 15일 확정됨에 따라 선정된 사업자들은 오는 2002년 6월을 전후해 상용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목표하에 IMT-2000 법인설립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준비작업에 들어간다.

사업자들은 우선적으로 현재 IMT-2000 사업추진본부(또는 사업추진단) 형태인 임시조직을 법인조직으로 전환하기 위해 인력배치와 조직구성에 주력할 계획이다.

내년 3월까지 정부에 납부해야 하는 1조3천억원(3년 분할납부방식)의 출연금을 조달하기 위한 자금확보에도 전력을 기울여야 할 입장이다.

정통부는 출연금 납부을 확인한 뒤 내년 4월 사업자별로 사업허가서를 교부하게 된다.

이로써 IMT-2000 사업자들은 사업허가 절차를 모두 마치고 통신망 구축과 장비도입 등 본격적인 IMT-2000 사업에 착수한다.

각 사업자는 초기 납입자본금 3천억∼5천억원을 몇차례의 증자를 통해 단계적으로 확대해 가면서 투자자금을 마련, 통신장비 및 통신망 구축에 총 3조원이상의 자금을 쏟아부어야 한다.

실제 상용화 시기는 사업자별 기술개발 진척도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2001년 말 또는 2002년 초 시범서비스를 거쳐 월드컵 개막을 앞둔 2002년 6월을 전후해 ‘꿈의 통신’으로 불리는 IMT-2000 서비스가 국민들에게 선보일 전망이다./연합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