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육성 공염불

경기도가 IMF이후 자금난에 허덕이는 도내 중소기업체를 위한 각종 지원책이 ‘공염불’에 그치고 있다.

17일 도에 따르면 IMF 사태가 발생한 다음해인 98년에는 도내 중소기업체에 대한 자금 지원 건수가 5천260개업체 5천995억8천700만원이었으나 99년부터 지원 건수와 액수가 해마다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이는 계속되는 경기침체로 인해 중소기업의 자금난이 가중되면서 대출금 이자조차 갚지 못해 발생하는 금융사고인 대위변제율이 급증하자 재정적 손실을 우려, 지원을 사실상 기피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실제로 구조조정자금의 경우 98년 1천410건 2천172억8천700만원이었으나 99년 557건 1천802억3천400만원, 올들어 10월말 현재 213건 954억7천200만원에 불과, 지원 건수는 5배 그리고 지원액은 2배 이상 급감했다.

이 가운데 시설투자자금의 경우 최근 3년간 지원 건수는 1천206건, 지원액은 1천218억1천500만원 감소했다.

운전자금 지원 실적도 98년 3천850건(3천823억원), 99년 3천42건(6천219억9천400만원), 올들어 10월말 현재 1천732건(4천196억5천200만원)으로 지원 건수가 2천118건 감소했다.

전자부품 생산업체인 K기업 관계자는 “기업체들은 유례없는 돈 가뭄으로 파산 위기인데도 불구하고 떼일 우려 때문인지 말도 않되는 평가 기준을 들먹이며 자금 지원을 기피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관련, 도 관계자는 “융자 지원 기준을 완화하면 현재 10%인 대위변제율이 20∼30%로 늘어난다”며 “대위변제율을 낮추면서 수혜의 폭을 넓힐 수 있는 방안을 강구토록 하겠다”고 말했다.

/최인진기자 ijchoi@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