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중앙지에 보도된 지난 일이지만 짚고 넘어가야겠다. 대통령 귀국길에 공무원 수천명을 환영군중으로 동원했다는 기사는 마치 타임머신으로 근대사회에 희귀한 느낌을 준다. 1970년대 유신정권시절, 박정희 대통령이 지방에 가면 수령방백들은 군중동원에 혈안이 됐다. 길가에 나무를 급히 가식(나중엔 뽑게 된다)해 놓거나 속은 생짚단에 겉뿐인 가짜 두엄더미를 눈에 띄는 곳곳에 만들어 식수와 퇴비증산을 강조한 대통령의 비위맞추기에 열올리기도 했다.
이승만 대통령의 자유당 정권에서는 역시 군중의 관제동원에 당시 시골선 차가 귀하던 때라 사람을 말이나 소달구지로 태워나르기가 일쑤여서 ‘민의’란 말 말고 ‘마의’, ‘우의’란 웃지못할 조어가 생겼다. 그후, 80년대 들어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정권에서는 그같은 동원을 볼수 없어 이젠 사라졌는가 싶더니 김대중정권에서 갑자기 관제동원의 망령이 되살아난 것은
유감이다.
벌써 보도된대로 대통령이 노벨평화상을 받고 귀국하는 14일 정부는 중앙부처, 서울시별로 담당구역을 정해 공무원들로 하여금 연도 인파를 만들도록 했다는 것이다. 텔레비전 뉴스를 보아서 어쩐지 똑같은 태극기를 든 환영군중이 많다 싶더니만 역시나 관제동원의 꿍꿍이속이 있었던 것이다. 관제동원된 위장시민인줄 알길없는 대통령은 내심 흡족했겠지만 결과적으로는 크게 욕보인 셈이 됐다.
도대체 그같은 전근대적 발상을 한 장본인이 누구인지 궁금하다. 대통령주변에 이런 위인이 있으면 있을수록이 나쁜 부담이 대통령에게 돌아간다. 그냥 넘어갈 일이 못된다. 관제동원한 장본인을 색출, 다신 이런 일이 없도록 엄중조치해 하는 것이다.
/白山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