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21C 유망직종 소개

21C 미래산업은 곧 두뇌산업이다.

이에 따라 21C 유망직종 또한 두뇌산업과 맥을 같이하는 하이테크 분야나 전문서비스업, 각종 컴퓨터 관련사업이라 하겠다.

그러나 유망직종은 선택된 직종이 쉽게 대체될 수 있는지 또는 적합한 교육기관이 있는지 등을 알아봐야 한다.

미래의 유망직종이라 하더라도 많은 사람이 몰려 비인기 직종으로 전락하거나 양성기관이 없다면 유망직종이라 하기 어렵다.

일반적인 유망직종과 여성들에게 유리한 직종을 간추려 소개한다.

▲전자상거래=인터넷의 폭발적인 확산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직종이다.

기업간 또는 기업과 소비자 사이의 상거래 활동을 인터넷 전용선, PC통신망, CATV망 등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사업을 수행한다.

▲전문연수사업=IMF체제 이후 개개인이 스스로 부가가치를 낼 수 있어야 생존할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회사원을 대상으로 어학, 컴퓨터와 같은 기본분야에서 마케팅, 인사, 생산, 재무 등 전문분야까지 교육을 실시하는 사업이다.

▲헤드헌터=고급기술인력을 찾는 기업의 의뢰를 받아 적임자를 알선해 주고 인력활용에 대한 문제까지 조언하는 사업이다.

미국에서는 70년대초 등장, 고임금을 받는 유망직종으로 자리잡고 있다.

▲기업회생=부도기업 수가 증가하면서 기업의 재무적 문제를 진단하고 신속한 처방으로 기업 운영상의 문제를 해결해 주는 사업이다.

기업회생 전문회사는 부도직전 또는 부도난 기업에 전문가를 파견, 회사를 살려주고 보상을 받거나 기업을 인수해 되파는 활동을 한다.

▲리매뉴팩처링=수명이 다된 제품을 분해해 주요 부품을 재활용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기존 리사이클링의 단점인 폐기물 화학처리에 따르는 공해유발과 막대한 재생비용을 보완해 기업들로부터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세계적 기업들도 리매뉴팩처링을 전제로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있다.

▲헬스캐어(Healthcare)=건강에 대한 관심증대와 고령인구 증가로 인해 치료보다는 예방에 관심이 모아지면서 의료, 재활, 건강검진 등 건강과 관련된 모든 분야를 종합적으로 서비스하는 사업이다.

▲웰스캐어(Wealthcare)=결혼, 내집장만, 교육, 자녀결혼 등 인생의 주요 시기별로 소요자금의 융통과 회수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종이다.

이 사업은 고객의 전 생애에 걸쳐 자금조달과 운영에 관한 컨설팅을 제공해 준다.

▲벤처캐피탈=기술력과 장애성은 있으나 자본과 경영능력이 취약한 기업을 자본투자 및 경영자문을 통해 육성한 후 투자자본을 회수하는 사업이다.

<여성에게 유망한 직종>

▲컴퓨터 프로그래머=컴퓨터시스템 이용자의 요구에 맞춰 각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관리하는 일을 한다.

취업전망이 매우 밝고 섬세한 여성에게 적합한 직업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 재택근무도 가능해 가사와 병행할 수도 있다.

▲웹디자이너=인터넷 웹사이트를 구축하고 디자인하는 업무다. 기업이나 공공기관 등이 홍보를 위해 인터넷 홈페이지 구축을 점차 확대하고 있어 전문직업인으로 각광받고 있다.

▲정보검색원=금융, 통계, 기술, 학술관련 자료 등을 검색해 수정·평가·분석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자료수집에 꼼꼼함이 절대적이어서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어울리는 직업이다.

한국생산성본부에서 시행하는 정보검색원 1, 2급 자격시험제도가 있으며 취업전망이 매우 높다.

▲컴퓨터속기사=회의 및 강연 등의 내용을 속기부호로 받아쓰고 속기록을 작성한뒤 컴퓨터로 교정·편집하는 일을 한다.

국회, 법원, 지방의회 등에 근무하거나 프리랜서로 활동이 가능하다.

수요에 비해 인력이 부족한 상태로 자격시험은 상공회의소에서 시행하는 시험과 한국속기교육협회에서 시행하는 1∼5급 자격시험이 있다.

▲텔레마케터=전화를 이용해 기업홍보, 고객관리, 여론조사 등 다양한 기업활동을 수행하며 홈쇼핑 채널이나 방송사 등에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교통체증과 인건비 상승 등으로 영업사원을 이용한 판촉활동이 어려워져 취업전망이 밝다.

▲소비자컨설턴트=소비자에게 합리적 소비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문직종이다.

아직은 대중화되지 못했지만 각 기업의 고객만족주의 경영이념으로 21세기 유망직종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각 대학에서 관련 강좌가 시행되고 있으며 소비자단체나 기업체의 상담요원으로 취업할 수 있다./이관식기자 kslee@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