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물이 생동하는 봄철은 피부에는 그리 좋은 계절이 아니다. 환절기라 대기도 건조하고 황사현상이 심해 피부질환을 일으키기 쉽다.
환절기에는 피부가 여러 변화를 겪기 쉽다. 피부중 외부 습도에 민감한 부위는 표피이며 그 표피중 각질층이 더욱 예민하게 반응한다. 즉 건조한 기후에서는 각질층 밑의 부위는 정상적 부피이지만 각질층은 건조돼 부피가 줄어들게 된다. 이로인해 피부가 땡긴다든지 갈라지며 피부에 항상 때가 있는 것처럼 각질층이 허옇게 일어나기도 한다. 이렇게 된후 치료를 하려면 시간과 경제적 손실이 따르므로 예방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첫째로 유의할 점은 너무 잦은 목욕을 피하는 것이다. 잦은 목욕은 오히려 피부를 건조시켜 피부를 상하게한다. 특히 때수건으로 피부의 때를 벗겨내는 것은 금물이며 간단한 샤워정도가 피부건강에는 오히려 약이 될 수 있다.
또 봄철에는 황사현상 등으로 대기에 먼지가 증가하고 여러가지 꽃가루등의 알레르기성 물질도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피부청결에 신경을 써야한다. 피부청결에는 비누를 주로 사용하며 여성의 경우 화장품의 일종인 크린싱크림을 쓰기도한다. 일반적으로 비누를 포함한 피부청결제는 알칼리성을 띠게 되는데 알칼리성 성질의 물질은 표피의 투과성을 증대시킨다. 이때문에 피부에 자극을 많이 주게되는게 사실이다. 그러나 피부의 산성성질에 의해 이를 중화할 수 있으므로 이들의 사용여부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오히려 사용후 이런 물질들이 얼마나 오랫동안 피부에 남아있는가가 더욱 중요하다. 이들이 오랫동안 피부에 남아 있으면서 피부의 자체 보호기능을 파괴할 수 있기 때문이며, 그로인해 여러 피부질환들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이들의 구성성분이 문제가 되는 경우도 있다. 피부이상이 생겼을 경우는 그동안 사용해오던 것을 한가지씩 발라 원인을 찾는게 좋다. 그러나 더 안전한 것은 사용하기전 얼굴이 아닌 팔등에 약간 발라 이상여부를 점거해보는 것이다.
이밖에 앞으로 나들이 등 외출의 기회가 많아지게 되므로 자외선을 조심해야 한다. 자외선은 얼굴에 주근깨, 기미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여성 피부의 가장 큰 적이다. 그러므로 외출시에는 가급적 모자, 양산등을 사용하고 자외선차단제를 충분히 규칙적으로 발라 자외선의 위험을 줄이도록 한다.
/강경묵기자 kmkang@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