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폐된 일본만행

1945년 8월 24일 발생한 ‘우키시마호 폭침사건’이라는 참변이 있다. 일본 북방경비의 중추역할을 맡았던 혼슈(本州)섬 최북단 아오모리(靑森)현 시모키타(下北)반도에 강제징용당한 조선인 7천여명을 태우고 인근 오미나토(大湊)항을 출발해 한국 부산으로 향하던 4천730t급 일본 해군함 우키시마호가 일본 교토(京都)시 근방 마이즈루(舞鶴)항 근해에서 폭발, 침몰하면서 수천명의 사상자를 낸 대형 해난사고다.

당시 일본 정부는 미군측 기뢰에 의한 촉뢰사고로 한국인 524명과 일본 해군승무원 25명이 사망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이 ‘우키시마호 폭침사건’은 한국인 강제징용자들을 짐승처럼 혹사시키며 죽음으로 내몬 전력을 은폐하기 위해 패전직후 징용자들을 반강제로 배에 태운 채 갑판에 폭발물을 설치, 수천명을 한꺼번에 일본 바다에 수장시킨 만행이라는 주장이 계속 제기돼 왔었다.

일본 해군이 계획적으로 갑판에 폭탄을 설치한 폭침음모가 확실한 근거로는 폭발소리가 나기 10분전에 일본 해군 300여명이 소지품을 모두 바다에 버린채 구명보트로 탈출한 점이다. 촉뢰사고일 경우 나타나는 50∼60m의 물기둥이 없었으며 1954년 10월 오사카(大阪) 국제신문 사진기자가 촬영한 사진에 철판이 바깥쪽에 부풀려 있는 것도 배안에서 폭발한 증거이다.

우키시마호 침몰 지점이 해안에서 겨우 300m로 육지까지 헤엄쳐 10분정도 걸리는 곳에 미군이 기뢰를 부설한 까닭이 없다는 등 고의적 폭침의혹을 제기하는 생존자들의 증언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데도, 변명 잘 하는 일본 정부가 침묵으로 일관하는 것은 수상하다.

일본은 지난 6일 개회된 제58차 유엔인종차별철폐위원회(제네바)에 제출한 보고서에까지 역사를 왜곡하고 있는 중이다.

재일한국인의 역사적 배경에서 강제징용 등의 사실(史實)을 생략하고 ‘다양한 이유’로 일본에 거주하게 됐다고 얼버무렸는가 하면, 한반도 식민지배도 ‘이른바 통치’쯤으로 호도한 것이다. 이러한 때에 ‘ 우키시마호 폭침사건 ’은 ‘ 미시스카 학살사건 ·1945년 8월18일 경찰서 유치장 방화로 징용자들을 불태워 죽인 사건 ’및 ‘ 미지호 학살사건· 1945년 8월19일 징용자들을 냉장고에 넣어 얼어죽여 바다에 던진 사건 ’과 병행하여 남북한이 정부차원으로 힘을 합쳐 진상을 반드시 규명해야 할 일본의 만행이다.

/淸河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