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강 乾川化 대비책 뭔가

북한이 지난 1998년말부터 군사분계선 북쪽 1㎞ 지점인 황해북도 토산군 임진강 지류의 협곡을 막아 ‘4·15댐’을 건설, 지난 15일 완공한 사실은 남북화해 분위기에 들떠 있는 우리에게 경종을 울려 준 것이다. 이 댐은 총저수량 3천500만t 규모로 20∼30㎾의 발전용량을 갖춘 발전소용인데다 남북한이 임진강 수방대책을 협의하고 있는 가운데 완공된 것이어서 북한의 정보에 밝지 못한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북한의 이 ‘4·15댐’완공이 우리에게 타격을 주는 것은 사전 정보의 부재도 그러하지만 지금까지 한번도 마르지 않았던 임진강 하류지역의 수량이 급격히 줄어 들어 연천군 전지역은 물론 하류지역의 파주시 등에 물 비상이 걸린 점이다.

매일 8만여명의 주민에게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 3만t을 취수하는 군사분계선 6㎞아래 연천취수장의 발전기들이 가동을 중단했고 임진강 일대 여섯곳의 양수장 가동도 모두 중단됐다고 하니 식수와 농업용수 확보가 당장 시급해졌다. 상황이 이렇게 화급한데도 지난 23일 건설교통부가 “임진강 북방한계선 근처에 북한이 조성한 댐은 소규모 발전용으로 임진강 유량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고, 따라서 앞으로 임진강 유역에 물 비상을 초래할 가능성도 거의 없다”고 했었다. 더구나 해명자료를 통해 “북한이 댐을 건설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지난해부터 파악하고 있었다”고 공개했다. 그렇다면 남북간 물분쟁으로까지 번질수도 있는 문제의 심각성을 정부가 알고도 쉬쉬하고 있었다는 게 아닌가. 임진강 일대의 물부족 사태 등에 검토를 했는데 별도의 대책을 세울 필요가 없었다는 말인셈이다. 실로 어처구니가 없는 대응책이다.

지난 24일 연천군이 상수원 확보를 위해 100여m의 임시보를 설치하고 취수구를 통해 90%의 수량만을 수돗물로 공급하고 있는 실정이고 보면 물 비상이 여간 심각한 게 아니다. 거기다가 임시보를 설치함에 따라 임진강 하류의 강바닥이 드러나 생태계 파괴까지 우려되고 있다.

연천군이 현재 임시로 만들어 놓은 보(洑)를 영구시설로 건설하고 팔당물을 끌어다 식수로 사용하는 방안 등 다각적인 대책 수립에 나섰지만 이는 지방자치단체로서는 역부족이다. 북측에 댐의 방류를 요구하고 수량의 공동조사를 제의하는 등 정부가 남북사업차원으로 시급히 해결해야할 중대사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