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계 인사비리 의혹 신속 규명을

그 동안 소문으로만 무성하던 경기도 교육계의 인사청탁 비리의 단서가 포착되면서 상당한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더구나 현직 교육감의 처남이 관련된 사건으로 알려져 경기도 교육계는 큰 충격을 받았음은 물론 일반인들은 이에 대한 철저한 수사를 요망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와 같이 현직 교육감의 처남이 승진대상자들로부터 금품을 받았다면 이는 분명히 잘못된 처사이며, 사건의 진상을 명명백백하게 밝혀 관련인사들은 응분의 책임을 져야될 것이다.

사실 그 동안 교육청의 인사비리에 대한 갖가지 의혹이 제기된 것이 사실이다. 지연·학연을 통한 정실인사에부터 교장과 교감인사는 물론 장학관 및 교육장 승진 등에 뇌물이 건네진 것이 아니냐는 의혹들이 무성했다. 심지어 연고지 배정과 같은 소소한 인사에까지 40만∼50만원의 돈이 오간 것으로 소문나 있다. 특히 교육장 승진에 수천만원까지 뇌물이 오간다는 소문이 번지고 있으니, 어떻게 올바른 인사가 될 수 있다고 믿겠는가. 교육장이나 교장 인사에 특정 인맥과 연줄이 없으면 원하는 자리로 갈 수 없다는 풍문이 공공연히 나돌고 있는 상황이니 인사에 대한 불신이 얼마나 뿌리깊었겠는가를 짐작케 한다.

우리 사회에 만연된 인사비리가 교육계만 없을 것으로 기대할 수는 없다. 그러나 후세 교육을 담당하는 교육자들이 만에 하나 자리를 돈을 주고 팔고 산다면 어떻게 후세교육을 할 수 있겠는가. 한국 사회가 아무리 부패하였다고 하더라도 최소한 교육계만이라도 부정부패에서 벗어나야 된다. 교육자 자신들이 부패하였다면 후세 교육 역시 부패할 수밖에 없다. 올바른 삶의 방식을 교육해야 될 교육자들이 부패사슬에서 벗어나지 못하면 후세 교육은 기대할 수 없다.

이번 사건은 오는 19일 실시되는 교육감 선거를 앞둔 시점에 불거진 사건이기에 더욱 우리로서는 관심이 크다. 사건의 파장에 따라 교육감 선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검찰의 조속한 사건 규명이 요구된다. 교육감 자신도 이번 사건에 대한 분명한 태도를 밝혀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해야될 것이다.

현재 경기지역의 교육계는 과밀학급 해소, 부족 교원 충원문제, 경기교육의 정체성 제고, 교육대 설립 등 수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이런 문제들의 해결을 위해서 교육청은 무엇보다도 신뢰를 얻어야 되며, 따라서 투명한 행정, 공정한 인사가 우선되어야 한다. 더 이상 경기 교육에 먹칠하는 인사비리 척결을 위해서라도 이번 사건에 대한 철저한 진상 규명이 요구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