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이 2000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산림의 공익기능을 금액으로 평가한 결과를 보면 총 49조9천510억원으로 목재, 산나물, 토석 생산액 등 직접적인 혜택(1999년 기준)보다 20배나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민 한사람당 106만원의 혜택을 받는 셈이다.
이 가운데 맑은 공기를 선사하는 대기정화기능은 13조5천350억원, 비가 내렸을 때 물을 비축해 놓는 수원(水源)함양기능은 13조2천990억원, 산에서 토사가 흘러내리는 것을 막아주는 토사유출방지기능은 10조560억원, 자연 휴양림·산림욕장 등을 통해 쾌적한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산림휴양기능은 4조8천300억원으로 평가됐다. 또 빗물을 정수해 약수 등으로 제공하는 산림정수기능은 4조8천270억원, 산이 무너져 내리는 것을
막아주는 토사붕괴방지기능은 2조6천360억원, 각종 들짐승이 살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해 주는 야생동물보호기능은 7천680억원 등으로 조사됐다.
숲이 사람에게 주는 혜택을 돈으로 환산해 보았지만 사실 숲의 소중함은 돈으로는 환산할 수 없는 생명과 같은 자원이다.그런데도 많은 사람들이 숲의 귀중함을 잘 모르고 산다. 아파트와 공장, 전원주택 신축 등으로 산림이 무분별하게 파헤쳐지고 나무들이 잘려 나간다. 거기다가 사람들의 사소한 부주의로 인해 발생한 산불은 수십년, 수백년된 산림을 순식간에 잿더미로 만들어 버린다.
식목일을 노는 날로만 생각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것도 산림보호의 앞날을 어둡게 한다. 특히 국유림이 대부분인 선진국에 비해 사유림이 많아 국가주도적인 조림사업이 효과적으로 이뤄지지 못하고 나무를 심어도 사후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
세계 제일의 조림국가이자 임업국가인 독일은 자급자족이 가능함에도 산림보호를 위해 목재의 일정량을 수입하는 산림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또 한 그루를 베면 반드시 두 그루를 심어 나무와 숲을 생활의 한부분으로 여긴다.
18세기 말부터 본격적으로 산림보호에 나선 독일은 2차세계대전 후 전쟁배상 재원으로 산림을 벌채하겠다는 승전국의 요구도 거절하고 산림을 지켰다. 우리나라의 산림정책과 국민의 애림녹화 운동이 독일을 본받았으면 좋겠다.
/淸河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